김성환(사진)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원전을 기저 전원으로 재생에너지를 빨리 늘려야 한다”며 탈원전 거리두기 발언을 내놨다.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해서는 “국민의 공론을 듣고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9일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이 기왕 원자력 발전을 해오며 노하우를 쌓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낮은 상황에선 전원을 적절하게 섞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석탄, 석유, 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 기반 발전원의 전환을 강조한 것이다.
김 장관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반영된 원전 2기 및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건설과 관련해서는 “11차 전기본은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기존 원전은 안전을 담보로 계속 (수명을) 연장해 쓰더라도 원전을 신규로 지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국민의 공론을 듣고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확대 개편된 기후에너지환경부를 보조할 수 있는 기후변화 관련 연구기능이 흩어져있는데 이걸 체계적으로 묶어야 한다”며 “가칭 기후과학원, 기후과학센터 등 일종의 통합 지원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이질적인 기능을 무리하게 묶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환경을 규제부서, 에너지 차관실은 진흥 이렇게 이분법으로 볼 일은 아니다. 기후, 에너지, 환경을 붙여서 하는 많은 국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조직개편 이후에도 산업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는 형제 부서처럼 충분히 사전 협력,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