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탐구 영역에 응시한 수험생 가운데 사회탐구를 선택한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공계 진학 희망자 상당수가 대학에서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하는 과학탐구 대신 상대적으로 학습량이 적고 수능에서 높은 등급을 받기 용이한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올해도 이어졌다는 의미다. 이공계로 진학하는 데 과학탐구보다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게 유리한 입시 제도는 결코 정상이라 할 수 없다. 교육당국은 현 입시 제도와 교육과정을 재점검해야 한다.
오는 11월 1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수능에 지원한 55만4174명 중 사회탐구 영역만 선택한 수험생은 32만4405명(61.0%)이다. 지난해(26만1508명)보다 24.1% 증가했다. 사회탐구 1개와 과학탐구 1개를 선택한 지원자는 8만6854명(16.3%)으로 지난해(5만2195명)보다 66.4% 급증했다. 반면 과학탐구만 선택한 수험생은 12만692명(22.7%)으로 역대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입시에서 사회탐구 선택이 유리한 결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사탐런은 각 대학이 의대나 이공계 학과에 진학할 때 반드시 응시해야 했던 과학탐구 과목을 축소한 게 직접적 원인이지만 이른바 ‘문·이과 통합’을 내세운 교육과정에 따른 부작용이기도 하다. 문·이과 통합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의도였지만 입시에선 수험생들의 부담 경감을 이유로 수학과 과학적 사고력의 비중을 축소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입시에서 본인에게 유리한 과목을 선택하려는 수험생들을 비난할 수는 없다. 하지만 대학에서 필수적으로 심화해야 하는 과목의 시험을 치르지 않는 게 해당 학과 입학에 더 유리한 입시 제도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공계 인재 양성에도, 융합형 인재 육성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교육과정 전반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다시 논의해야 할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