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총대 할당 법제화·AI 가이드라인 연구안 등 눈길

입력 2025-09-09 03:00
한국교회 주요 교단 총회가 이달 중순으로 다가오면서 현장에서 다뤄질 안건들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총회에서는 기구 개편, 헌법 개정, 제도 개선 등 각 교단이 당면한 현안 처리는 물론 한국교회 발전을 위한 미래지향적 대안들도 논의될 예정이다. 각 교단의 주요 헌의안과 쟁점을 짚어본다.

예장통합, 여성 총대·연금재단 관심

김영걸 예장통합 총회장이 지난해 경남 창원 양곡교회에서 열린 제109회 총회에서 성찬식을 집례하고 있다. 국민일보DB

오는 23일부터 사흘간 서울 영락교회(김운성 목사)에서 제110회 총회를 여는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총회장 김영걸 목사)은 여성 총회대의원(총대) 법제화를 다시 논의한다. 평신도위원회가 ‘총회에 총대를 10인 이상 파송하는 노회는 여성 총대 1인 이상을 총대로 파송한다’는 청원안을 올렸다.

올해는 여성 안수 법제화 30주년으로 예장통합이 여성 지도력 향상에 새로운 전기를 맞을 수 있을지 아니면 또다시 권고 수준에 그칠지 눈길이 쏠리고 있다. 예장통합 제110회 총대 1500명 중 여성은 57명으로 역대 최고치지만 3.8%에 불과하다.

목회자 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평신도 역량을 끌어내는 방안도 논의된다. 기존에 운영하던 ‘평신도 교육사’ 제도를 정비해 평신도가 일정 교육 과정을 이수하면 ‘교회학교 교육사’로 인정받고 교회학교에서 교역자로 사역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교육자원부는 교육사의 정의와 자격 요건, 교육과정 주최 기관, 수료 후 사역 절차 등 운영 지침안을 확정하고 이번 총회에 청원한다.

사회에 악영향을 끼치는 이단·사이비에도 대응한다. 이단사이비대책위원회는 기존에 ‘사이비’로 지정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을 ‘이단’으로 결의해 달라고 청원했다. 또 노회나 교회가 이단·사이비와 법정 공방을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총회 차원에서 전문 변호사를 선정해 줄 것도 요청했다. 노회가 올린 헌의안 중에는 사랑제일교회 사랑침례교회 인터콥 등을 조사해 달라는 안건도 나왔다.

이밖에도 기후위기 시대에 창조세계 보전을 위한 ‘창조절’을 공식 절기로 채택해 달라는 안건과 치리회장 및 기관장들의 윤리적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곧장 직무정지 및 해임하는 방안도 현장에서 다뤄진다.

연금재단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 처리 방안과 수급률 조정안, 유아세례 교인의 입교 나이를 현재의 13세에서 7세로 낮추는 개정안은 현장에서 열띤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연금재단 투자 손실금이 772억원에 달하고 제107회 총회에서 결의한 수급률 조정안에 설계 오류가 대두되면서 대안 마련에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예장합동, 인공지능 활용 방안 논의

예장합동 총대들이 지난해 울산 우정교회에서 열린 총회에서 안건을 경청하는 모습. 국민일보DB

예장합동 총회(총회장 김종혁 목사)는 오는 22일부터 닷새간 서울 충현교회(한규삼 목사)에서 제110회 정기총회를 진행한다. 총회에서는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를 비롯해 목회자 은퇴 대책 마련, 남북 공존 방안 모색 등 다양한 분야의 헌의안이 다뤄질 전망이다.

‘AI 시대 교단 차원의 대책 수립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 청원’이 헌의안에 담겼다. AI 시대에 개혁주의 신학 입장을 정리하고 AI 자료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지침 등 총회의 방안을 제시해 달라는 취지다.

‘목회자미래준비위원회’를 상설위원회로 설치해 달라는 헌의안도 눈길을 끈다. 이 헌의안은 목회자 은퇴 준비와 은퇴 이후 삶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달라는 내용이다. 하지만 최근 상설위 축소 분위기 속에서 신설이 가능할지 이번 총회에서 논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예장합동 총회 상설위는 연중 상시 운영되는 위원회로 총회실행위를 비롯해 선거관리위 등이 있다.

상설위 설치 헌의안 중에는 ‘남북 함께 살기 추진위원회’도 있다. 이 위원회는 남북 공존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제안됐다. 당장 통일이 어려운 만큼 통일 이전, 남북한이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길을 모색하는 성격을 지닌 위원회다.

한편 ‘개신교’와 ‘기독교’ 용어의 신학적 검토와 방송사들이 ‘하느님’이라는 자막을 사용하는 걸 지양하도록 요청해 달라는 헌의안도 다뤄진다. 개신교와 기독교 중 어떤 용어가 천주교를 제외한 개혁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어인지 신학적 검토를 해달라는 취지에서 상정됐다.

박용미 장창일 기자 m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