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함께 잘 사는, 마땅한 일을 행한 삶”

입력 2025-09-09 03:03
제35회 일가상 사회공익부문 수상자인 송길원 목사가 지난 6일 서울 강남구 밀알학교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개척의 종을 치고 있다. 일가재단 제공

가나안농군학교 설립자 일가(一家) 김용기(1909~1988) 장로의 근로·봉사·희생정신을 두고 한국교회 원로들이 “오늘날 교회와 사회에 꼭 필요한 덕목”이라고 회고했다. 김 장로의 뜻을 기려 제정된 ‘일가상’이 올해로 35회를 맞아 지난 6일 시상식이 열린 가운데 생전 그와 인연을 맺은 교계 원로와 학자들은 “한국이 다시 붙잡아야 할 정신”이라고 입을 모았다.

김 장로는 일제강점기부터 농민 의식개혁 운동에 헌신했고, 해방 이후에는 가나안농군학교를 세워 농촌 지도자들을 교육했다. 그의 사역을 본받은 새마을운동은 1960~70년대 한국 산업화의 밑거름이 됐다. 1966년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막사이사이상을 받았고, 사후엔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됐다. 가난과 절망 속에서도 ‘한 손엔 성경, 한 손엔 괭이’를 붙잡았던 그의 삶은 한국의 근대화와 교회사를 넘어, 오늘의 한국교회가 다시 되새겨야 할 영적 유산으로 남아 있다.

생전 김용기 장로가 종을 치던 모습. 일가재단 제공

김경래(97)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재단 부이사장은 1962년 2월 9일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을 가나안농군학교로 인도한 주인공이다. 최근 서울 마포구의 자택에서 만난 그는 “일가 정신에 깊은 인상을 받은 박 의장이 이후 이를 새마을운동으로 확산시켰다는 점에서 그날은 대한민국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인 날이었다”고 회고했다.

일가 공로상을 받은 홍정길(83) 밀알복지재단 이사장은 일가의 삶을 “당연히 해야 할 일을 마땅히 한 보통 사람의 삶”으로 요약했다. 그는 “오늘날 한국교회와 사회의 문제는 특별함에만 집중할 뿐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못하는 데 있다”며 “하나님 말씀에 기초해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흔들림 없이 묵묵히 감당하며 마땅한 인생의 걸음을 걸은 일가의 가르침은 제 신앙과 사역의 기준점이 됐다”고 고백했다.

노정혜(68) 서울대 명예교수는 미국 유학 시절 김 장로와 인연을 맺은 후 일가의 가르침을 직접 받았다. 그는 “나 자신의 이익에 머물지 않고 하나님이 바라시는 공동체와 이웃의 유익을 구하는 삶을 실천하는 일가의 모습과 가르침은 큰 울림을 주었다”며 “그분의 ‘복민주의’(복음을 따라 살면서 복을 받는 하나님 백성의 삶)는 함께 잘 살자는 공동체 운동이다. 이기주의와 분파주의로 갈라진 우리 사회에 절실히 필요한 정신”이라고 평가했다.

하이패밀리 대표 송길원(68) 목사는 “이른 아침 산책길 ‘돌도 게으르면 안 된다’며 누워 있는 돌을 죄다 일으켜 세우신 김 장로님은 내 인생의 변곡점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교회 안 직분보다 교회 밖에서 더 크고 깊은 선한 영향력을 남긴 분”이라며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구체적인 이웃 사랑으로 실천한 영적 거인”이라고 회고했다.

김 부이사장은 오늘의 교회와 사회가 붙들어야 할 교훈으로 검소함과 더불어 하나님을 가까이하는 교육을 꼽았다. 그는 “일가는 돈에 대해 하나님이 가치 있게 쓰라고 주신 것이라고 하셨다. 한국교회가 부와 규모를 좇다 보니 오히려 하나님을 덜 찾게 됐다”며 “‘하나님을 가까이함이 내게 복’이라는 일가정신이 교회와 가정, 사회 전반에 확산해야 존경받는 나라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가상은 지금까지 국내외 92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김 장로의 막내딸 김찬란 전 서울여대 교수는 “많은 이들이 십시일반 정성껏 상금을 모아 만든, 특정한 누군가의 상이 아닌 우리 모두의 상”이라며 “아버지의 정신이 다음세대에 살아 움직여 전해지는 것이 일가상의 참된 의미”라고 전했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