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택공급 속도전… 5년간 135만 가구 착공

입력 2025-09-07 18:56

정부가 향후 5년간 수도권 135만 가구 착공을 목표로 전방위적 부동산 공급 대책을 펼친다. 기존 착공 예상 물량에 연평균 11만2000가구씩 추가 착공이 가능하게끔 정책을 설계했다. 신축뿐 아니라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까지 포함한 점이 특징이다.

정부는 7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부동산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착공 물량을 늘려 속도전에 나서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구 부총리는 “과거처럼 단순 허가 기준이 아니라 실제 입주로 이어지는 착공 물량을 기준으로 관리해 반드시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번 공급 대책을 통해 수도권에서 추가 착공할 물량은 향후 5년간 56만 가구다. 최근 3년간 평균 착공 물량(15만8000가구)이 향후 5년간 이어진다는 가정에서 계획을 세웠다. 순증 물량을 합해 향후 5년간 연평균 27만 가구가량 착공이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전체 착공 목표치는 134만9000가구다.

공급 방식은 공공과 공공·민간 협업, 민간 등 세 갈래다. 공공 부문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도한다. 공공택지를 민간 분양해 개발하던 방식 대신 LH가 직접 주도하는 방식으로 모두 6만 가구 분량을 짓는다. 공급 물량은 분양보다 임대에 좀 더 무게를 실어 ‘내 집 마련’ 대신 ‘거주 안정’에 방점을 뒀다. 도심 노후 공공주택을 재정비해 소득 하위 60%에 임대 물량으로 내놓는 대책도 마련했다. 아울러 민간과의 협업 차원에서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절차를 최대 3년까지 단축하기로 했다. 민간 개발 지원책으로는 환경영향평가 정비, 금융 지원 등을 병행한다.

정부는 6·27 대출 규제에 이은 추가 금융 정책을 내놓고 8일부터 수도권에서 1주택자의 전세대출 한도를 2억원으로 일괄 축소하기로 했다. 주택매매·임대사업자는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한다. 또 이상 거래 감시 기능을 강화해 부동산 가격을 올리는 ‘꼼수’를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