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비위 파문’ 늑장 대응 파장… 조국혁신당 지도부 총사퇴

입력 2025-09-07 19:15 수정 2025-09-08 00:10
조국혁신당 김선민(맨 앞) 당대표 권한대행과 서왕진 원내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내 성비위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의사를 밝힌 뒤 회의장을 나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의 형 확정 이후 권한대행 체제가 출범한 지 9개월 만이다. 이병주 기자

조국혁신당이 당내 성비위 파문으로 지도부가 총사퇴하며 창당 이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 당은 사태 발생 직후부터 늑장 대응해 파장을 키웠고,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은 출소 후에도 곪아가는 상처를 외면한 채 외부 일정에만 매진했다. 혁신당은 지난해 12월 조 원장 형 확정 이후 권한대행 체제가 출범한 지 9개월 만에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게 됐다.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은 7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지도부 총사퇴를 알렸다. 김 대행은 “혁신당은 신생 정당이다. 대응 조직과 매뉴얼도 없는 상태에서 일이 일어났다. 모두 제 불찰”이라며 “더 과감한 조치를 해야 하지만 못했다.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전했다. 황현선 사무총장과 ‘성희롱은 범죄가 아니다’라는 취지로 발언했던 이규원 사무부총장도 동반 사퇴했다. 비대위원장은 당무위원회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혁신당이 여기까지 온 건 무엇보다 당의 미온적 대응 탓이다. 강미정 대변인은 지난 5일 탈당 기자회견에서 “윤리위와 인사위는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로 채워져 있었고 외부 조사 기구 설치 요구는 한 달이 넘도록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그 과정에서 피해자들에게 또 다른 가해가 쏟아졌다”고 주장했다.

조 원장은 광복절 특별사면 출소 후 더불어민주당과의 선명성 경쟁만 염두에 둔 듯 당 내부 정비 대신 지역 방문을 지속했다. 피해자 대리인이었던 강미숙 혁신당 여성위원회 고문은 국민일보 통화에서 “조 원장에게 (옥중 서신으로) 조직 개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며 “조 원장은 형식 논리에 숨으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조 원장은 최근 페이스북에 “당시 당적 박탈로 비당원 신분이었던 저로서는 당의 공식 절차 진행 과정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없었다”고 해명했었다. 이에 대해 강 고문은 “조 원장이 상징적 리더라는 것을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데, (조 원장이) 비당원이라고 얘기하는 거야말로 밤하늘을 보고 태양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조 원장은 결국 이날 모든 일정을 중단했다.

피해자를 위한 구체적 후속 조치도 감감무소식이다. 당은 인권 향상·성평등 문화혁신 특위 및 권고사항 이행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다. 지난달 20일 권고안을 제시하며 활동을 종료했지만 당무위 소집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혁신당 관계자는 “최고위에서는 의결됐지만 공식적으로 인준되려면 당무위를 거쳐야 한다. 그 과정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 관련 2차 가해성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최강욱 민주당 교육연수원장도 이날 사퇴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당 윤리감찰단 보고를 받고 최 전 원장을 즉시 윤리심판원에 회부했다. 후임에는 3선 김영진 의원을 지명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8일 혁신당 관계자와 최 원장을 성폭력 비위 2차 가해 혐의로 고발할 예정이다.

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