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천원의 아침밥’ 사업이 산업단지 근로자로 확대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단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천원의 아침밥 시범 사업’ 참여 신청을 17일까지 받는다고 3일 밝혔다. 전국 산단 중 최대 17곳을 선정해 지원한다. 선정된 기업은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근로자 아침밥 비용 일부를 지원받는다. 끼니당 5000원을 기준으로 정부가 2000원을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나 기업이 2000원을 부담해 근로자가 내는 비용은 1000원이 되는 방식이다.
농식품부는 규모가 영세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천원의 아침밥 시범 사업을 시행한다. 더 많은 기업에 혜택이 가도록 개별 기업보다 공동식당을 운영하는 입주기업 협의체를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아침밥 확산’이란 취지에 맞춰 기존에 아침 식사를 제공하지 않던 기업 등은 평가에서 우대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산단별 여건에 맞게 구내식당 외에도 주문 배달, 케이터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원의 아침밥은 쌀 과잉 공급 문제를 해소하고 아침 식사를 장려하기 위해 2017년부터 시행된 사업이다. 그동안은 대학생이 수혜 대상이었다. 고물가 부담을 낮춰 시행 첫해 14만명이었던 수혜자 수는 지난해 393만명으로 급증했다. 관련 예산도 같은 기간 2억4000만원에서 81억1600만원으로 늘었다.
천원의 아침밥 사업이 확대되며 상대적으로 식사 여건이 좋지 않았던 산단 근로자에 대한 지원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생활비 절감 대책의 일환으로 ‘전국 산단 근로자를 위한 천원의 아침밥 사업 지원’을 공약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도 인터뷰(국민일보 2025년 6월 13일자 1면)에서 “물가 중에서도 생활 물가, 그중에서도 직장인 물가, 구체적으로는 점심 물가가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내년에도 천원의 아침밥 시범 사업을 이어간다. 또 내년부터 3년간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근로자의 점심 외식비 20%(월 최대 4만원)를 지원하는 ‘직장인 든든한 한 끼’ 사업도 시범 운영한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