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도 목회자들 협동조합 만든 뜻은

입력 2025-09-04 03:01
전남 완도에서 배를 타고 1시간을 가야 닿을 수 있는 곳이 소안도다. 30㎢ 넓이의 섬에서 지난달 네 개의 교회가 힘을 합쳐 지속가능한 목회 시스템을 만들었다. 구도교회(천현호 목사) 맹선은혜교회(조규필 목사) 부상안디옥교회(김용균 목사) 소안동부교회(장민영 목사)가 의기투합해 섬지기 협동조합(섬지기·이사장 조규필 목사)을 설립했다.

섬 목회자들이 안정적으로 사역할 방안을 찾다 마련한 결실이다. 섬지기를 통해 이들 목회자는 미역과 다시마 등 섬에서 나는 특산물을 판매한 뒤 이 수익으로 자립 목회의 길을 열어가고 있다.

섬지기 이름에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지기(知己)’는 자신의 속마음을 알아주는 참된 친구라는 뜻이고 또한 낙도에 있는 교회를 지키는 사람들이라는 의미도 담았다.

섬지기의 시작은 소박했다. 멸치액젓을 만들어 교회 운영비를 마련하던 조규필(43) 목사에게 한 사모가 농담처럼 건넨 말이 계기가 됐다. “목사님, 나 목사님 작업장에서 아르바이트하게 해 줘.” 그 순간 조 목사는 일정한 수입이 없는 농어촌 목회자들의 어려움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조 목사는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농어촌 지역은 고령화와 저출생 문제로 인구 감소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그런데도 교회는 세워져야 하고 목회자의 생계유지도 필요하므로 자립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실제 농어촌교회 목회자들의 가장 큰 어려움은 재정난이다. 지난 3월 목회데이터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농어촌 목회자 중 사례비만으로 생활이 가능한 목회자는 20% 수준으로 다섯 명 중 한 명에 불과하다.

섬지기는 이런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섬 특산물을 발굴하고 가공해 도시 교회를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하면서 새로운 수익 구조를 만들었다.

섬지기의 목적은 단순 생활비 마련이 아니라 선교적 자립에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원칙을 세웠다.

우선 수익 일부를 자신들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서 목회하는 목회자 가정에 흘려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더 낙도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매달 1~2회 마트와 식당이 없는 작은 섬 목회자에게 소문난 맛집 음식이나 선물을 보내는 일이다.

또한 섬지기 회원들은 본업인 목회에 집중하기 위해 택배 작업은 주 2회로 제한을 뒀다. 통장은 협동조합 구성원 모두가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하고 관리한다. 업무와 이익은 균등하게 나누고 일정 금액 이상 받지 말자고도 뜻을 모았다. 돈에 대한 욕심을 경계하기 위해서다.

조 목사는 “농어촌교회는 한국교회의 모판이며, 시골에서 신앙으로 자란 청년들이 도시로 가서 한국교회를 성장시켰다”면서 “농어촌교회 목회자들이 교회를 살리기 위해 건강한 목회 자립 시스템을 만든다면 한국교회의 근간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