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네팔 카트만두 사라티 파트샬라 학교에서 특별한 졸업식이 열렸다. 주인공은 아홉 살까지 부족어만 사용해 네팔 공용어조차 몰랐던 소년 ‘라주’였다.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와 지내던 그는 2015년 대지진으로 네팔 전체가 큰 혼란에 빠졌던 무렵 차기현(52) 선교사의 보육원에 맡겨졌다. 10년 뒤 라주는 우수한 성적으로 학교의 첫 졸업생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한때 생존을 걱정해야 했던 소년은 이제 대학에 어느 학과를 갈지 행복한 고민을 하는 청년으로 성장했다.
지병 치료차 한국을 잠시 방문한 차 선교사는 최근 국민일보와 만나 “척박하고 먼지 가득한 환경 속에서도 버틸 수 있는 이유는 라주의 졸업과 같은 열매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 총회의 파송을 받은 그의 네팔 사역은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됐다. 그는 본래 호주에서 사역을 준비하고 있던 터라 영주권 문제로 네팔 출신 변호사를 만났다. 변호사는 “목사님 같은 분이 네팔에 오시면 더 귀한 일을 할 수 있다”고 설득했다. 차 선교사 부부는 이를 ‘하나님의 음성’으로 받아들였다.
2015년 4월 네팔을 덮친 대지진은 차 선교사에게 소명으로 다가왔다. 사역비가 떨어져 후원을 요청하러 홀로 한국에 나와 있던 그는 뉴스로 네팔의 참상을 접했고 가족의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아 애를 태웠다. 그는 “수십 통을 전화한 끝에 겨우 가족과 통화가 됐다”며 “이후 저의 상황이 알려지면서 한국교회와 교단에서 구호 헌금이 모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 후원금은 구호 물품뿐만 아니라 무너진 땅에 교회를 세우는 종잣돈이 됐다.
대지진은 수많은 고아를 남겼다. 차 선교사는 이들을 위해 보육원을 시작했다.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교육을 제공하고자 2017년에는 폐교 직전의 학교도 인수했다. 학생 17명에 불과했던 학교는 현재 310명이 다니는 배움터로 성장했고, 올해 10학년 과정을 인가받으면서 완전한 학교의 형태도 갖추게 됐다. 그는 “가난한 아이들을 위해 장학금을 주다 보니 학교는 늘 적자지만, 그때마다 하나님께서 무명의 후원자들을 통해 채워주시는 기적을 경험한다”고 고백했다.
네팔은 개인의 종교는 인정하지만 타인에게 개종을 권유하는 행위는 법으로 금지하는 나라다. 직접 전도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그의 사역은 ‘영적 치유’를 통해 확장됐다. 원인 모를 질병에 시달리던 이들이 교회를 찾아와 기도로 치유받았다. 이 일이 입소문을 타면서 복음이 자연스럽게 전파됐다. 현재 그는 40여개 현지 교회와 협력한다. 이 교회들은 모두 네팔인 목회자가 책임지고 사역을 이어가고 있다.
차 선교사의 다음 목표는 현지 신학교 설립이다. 그는 “부흥이 뜨거운 만큼 신학적 기반이 약해 이단에 흔들리는 경우가 많다”며 “체계적인 교육으로 건강한 현지인 목회자들을 양성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4년간 낯선 땅에서 사역하다 보면 이제 끝났다고 느껴지는 순간들이 있다”며 “하지만 주님께서 끝이라고 말씀하시기 전까지는 결코 끝이 아니다. 그 믿음 하나로 여기까지 왔다”고 덧붙였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