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딸 주애 데리고 베이징 도착

입력 2025-09-02 19:02 수정 2025-09-03 00:23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일 오후 전용열차 편으로 베이징역에 도착해 차이치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와 왕이(맨 왼쪽) 외교부장의 영접을 받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이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 뒤에 딸 주애가 서 있다. 김 위원장이 외국 방문에 딸을 대동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하기 위해 2일 베이징에 도착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3일 김 위원장 및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천안문 망루에 올라 열병식을 사열한다. 북·중·러 정상이 함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반미 연대’를 과시하는 상징적 사건이 될 전망이다.

김 위원장은 전날 전용열차를 타고 평양을 출발해 이날 오후 4시(현지시간) 베이징역에 도착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중국 권력 서열 5위인 차이치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와 왕이 외교부장 등이 김 위원장을 영접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방문에 딸 주애를 동반해 국제사회 앞에 후계 구도를 분명히 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중국은 김 위원장을 푸틴 대통령에 준해 예우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푸틴 대통령과도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중·러와의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경제 활성화와 대미 협상 등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일 협력 관계에 북·중·러가 맞서는 형세가 되면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는 급변이 불가피하다.

지난 1일까지 이틀간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했던 푸틴 대통령도 이날 오전 전용차량으로 베이징에 도착했다. 시 주석은 이날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협력 강화 의지를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러·중 관계가 전례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며 친밀감을 과시했다.

시 주석과 26개국 정상이 참석하는 전승절 열병식은 3일 오전 9시 천안문광장과 인근 창안제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펼쳐진다. 중국은 첨단 전략무기와 무인기 시스템 등 최신 무기를 대거 선보여 군사력에서도 최강대국 미국에 도전할 수 있음을 보여줄 계획이다.

사열대인 천안문 망루의 중심에는 북·중·러 정상이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각각 시 주석의 오른쪽과 왼쪽에 앉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 등 반미·반서방 국가 정상들이 오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첨예하게 갈등하고 있는 국가들이다.

뉴욕타임스는 “(열병식에는) 대부분 권위주의적인 20여명의 지도자가 참석한다”면서 “중국·러시아·이란·북한의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영국 가디언은 “서방 분석가들이 ‘격변의 축’이라 부르는 러시아·중국·이란·북한의 군사·경제·정치적 협력이 서구 중심 세계질서의 대안이 되고자 하는 중국에서 주목받게 됐다”고 짚었다. ‘격변의 축’은 역사학자 니얼 퍼거슨 하버드대 교수가 2009년 세계적 혼란이나 충돌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 국가들이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