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특검이 12·3 비상계엄 때 국회의 계엄해제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내란 특검이 현역 국회의원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계엄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였던 추 의원이 계엄 직후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 공지하며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특검은 그 배경에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 또는 요청이 있었는지에 대해 집중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특검은 2일 추 의원의 서울과 대구 주거지, 여의도 의원 사무실과 대구 달성군 지역구 사무실에 대해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압수수색영장에 추 의원은 내란중요임무종사 및 직권남용 혐의를 받는 피의자로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추 의원은 계엄선포 직후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국회→당사→국회→당사로 세 차례 변경 공지했다. 동선에 혼선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해제 표결에 참여하는 것을 막으려 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져 있다. 당시 108명의 국민의힘 의원 중 표결에 참여한 이는 18명에 그쳤다. 국회 경내에 있던 추 의원도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특검은 추 의원이 당일 윤 전 대통령,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각각 나눈 통화에서 계엄해제 표결 방해 관련 요청을 받은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 사무실도 포함됐다. 특검은 조 의원은 참고인 신분이라고 밝혔다.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이었던 조 의원은 추 의원과 함께 계엄 당일 원내대표실에 머물렀고, 계엄 선포 5시간 전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의힘 의원 어느 누구에게도 계엄해제 표결 불참을 권유한 적이 없다”며 “일각에서 제기하는 의혹은 국민의힘을 겨냥한 근거 없는 정치 공세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야당 말살 수사이자 정치공작”이라고 반발했다.
신지호 정우진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