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사과로 시작해 사과로 끝났다고 할 만큼 후보자의 사과 발언이 이어졌다. 교육자 경력에 부적절한 언행이 그렇게 많았음을 뜻한다. 내정 후 그런 사안이 불거질 때마다 “청문회에서 소명하겠다” 했지만, 정작 청문회가 열리니 ‘소명’은 별로 들리지 않았다. 앞서 낙마한 이진숙 후보자가 논문을 표절하고 가로챘다는 지적에 정면 반박했던 것과 달리, 납작 엎드리기를 택했다. 이런 대응의 목적은 반성의 뜻을 전함일 텐데, 그것이 잘 전달됐을지 의심스럽다. 반성을 담아 사과할 일이 너무 많았고 또 다양했기 때문이다.
최 후보자는 음주운전, 막말, 정치 편향, 북한 옹호 행태, 논문 표절, 낙하산 취업 등 여러 문제가 제기됐다. 면허취소 수치의 음주운전, 짜깁기 수준의 논문 표절, 전문 분야와 무관한 공기업 감사 재직 등 신상 문제와 함께, SNS에서 드러낸 인식과 시각이 교육 수장 자질을 의심케 했다. ‘천안함 좌초설’ 음모론과 ‘여전히 부끄러운 부산’이란 지역감정 조장 글,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폭행 유죄 판결을 ‘사법 살인’이라 주장한 글을 SNS에 공유했다. 입시 비리의 조국 전 장관을 옹호한 반면, 박근혜 전 대통령을 암시하며 비속어를 썼고,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일을 ‘탕탕절’이라 칭하기도 했다. 이런 SNS 활동의 상당수는 현직 교육감일 때 했던 일이다. 청문회 직전에는 그가 교사 시절 여학생의 따귀를 때린 일화가 알려져 논란이 됐고, 청문회에선 세종시교육감 시절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출신 인사에게 승진 특혜를 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최 후보자는 사과를 거듭 밝히며 “천안함 음모론에 동의하지 않는다” “부산에 대한 글은 직접 올린 게 아니다” 같은 해명을 내놨지만, 제기된 일련의 문제는 그의 정치적 편향성과 진영 논리 매몰 정도가 심각한 수준임을 말해주고 있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고 보장해야 하는 교육부 장관 자리에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나라의 교육을 책임질 이의 처신은 아이들이 보고 배울 대상이 되기에 다른 공직보다 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 편향된 인식에 윤리적 흠결까지 노출된 사람을 교육 수장 자리에 앉히는 것은 그 자체로 비교육적이다. 최 후보자는 오랜 세월 누적해온 언행을 털어내듯 청문회에서 많은 사과를 했다. 그동안 살아온 과정, 뱉어온 말과 행동이 이날 하루의 사과로 무마돼 뜻하는 자리에 올라선다면, 아이들이 그것을 지켜보며 무엇을 배우고 어떤 생각을 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