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피의자들을 재판에 넘기며 반환점을 돈 ‘3대 특검’(내란·김건희·채해병) 수사가 ‘2라운드’에 접어들고 있다. 김 여사를 구속 기소한 김건희 특검은 각종 명품수수 의혹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매관매직’ 정황 수사에 집중할 방침이다. 내란 특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불구속 기소한 데 이어 국민의힘을 겨냥한 계엄해제 표결방해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VIP 격노’ 실체를 확인한 채해병 특검은 연장된 수사 기간 동안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 등에 대한 실체 규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건희 특검은 김 여사의 인사 등 국정에 개입한 의혹에 대한 수사를 본격적으로 전개할 전망이다. 명품 또는 귀금속을 수수한 대가로 인사 청탁 등을 들어주는 동일한 패턴의 의혹이 제기돼 있는데,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김 여사에게 적용될 혐의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먼저 2022년 3월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으로부터 반클리프앤아펠 목걸이 등 귀금속을 수수한 사안은 이미 이 회장의 자수서 제출로 그 대가관계의 정황이 어느 정도 드러난 상태다. 이 회장은 목걸이 등을 건네며 맏사위 박성근 전 검사에 대한 인사를 청탁했는데, 박 전 검사는 3개월 뒤 국무총리 비서실장에 임명됐다.
‘로봇개’ 사업가 서성빈씨가 그해 9월 김 여사에게 5400만원대 바쉐론 콘스탄틴 시계를 선물한 의혹도 제기돼 있다. 특검은 대통령경호처와 서씨 업체 간 맺은 로봇개 경호사업 관련 임대계약이 그 대가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최근에는 김 여사가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으로부터 10돈이 넘는 금거북이를 받고 국가교육위원장 자리를 줬다는 의혹까지 불거진 상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추가 기소에 이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한 전 총리까지 재판에 넘긴 내란 특검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등 나머지 국무위원 수사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한 전 총리를 불구속 기소하며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의 절차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적극적 행위를 하며 (내란에) 동조했다”고 지적했다. 계엄을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나머지 국무위원에 대한 고강도 수사를 예고한 대목이다. 동시에 국민의힘의 비협조에 속도를 조절했던 12·3 비상계엄 해제 표결방해 의혹 수사도 본격적으로 전개될 예정이다.
채해병 특검은 지난 30일까지였던 수사 기간을 한 달간 연장했다. 특검은 수사 개시 이후 2023년 7월 31일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나왔던 ‘VIP 격노’의 실체를 다각도로 확인하며 회의 전후 제기된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와 채해병 사망사건 기록 회수 및 수사외압 관련 사실관계 파악에 주력해 왔다. 특검은 다음 주부터 국가인권위원회가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에 대한 긴급구제를 기각한 경위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나서는 등 수사 범위를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이서현 기자 hy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