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정상은 한명도 참석 안해… 국제사회 中 영향력 한계 표출

입력 2025-09-01 02:15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준비가 이뤄지고 있는 지난 29일 오후 베이징 톈안먼의 모습. 연합뉴스

북·중·러 정상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서지만 서방 주요국 정상은 한 명도 참석하지 않는 중국의 80주년 전승절 열병식은 현시점에서 국제정치의 역학관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3일 베이징 천안문광장에서 열리는 전승절 열병식 초청 명단에는 북한과 러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국가 등 26개국 지도자가 이름을 올렸다. AP통신은 30일 초청 명단에 서방 주요국 정상이 빠져 있는 점을 언급하며 “눈에 띄는 불참자들의 존재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 시도와 야망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주중 미국대사도 열병식에 참석하지 않는다.

올해 열병식은 중국 주도의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폐막 직후 열린다. 다만 두 행사의 초청 명단이 완전히 겹치지 않는다. 국제사회 내 중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와 동맹관계, 영향력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AP는 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SCO 정상회의에 이어 전승절 열병식에도 참석한다. 하지만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무스타파 마드불리 이집트 총리 등은 SCO 회의만 참석하고 열병식에는 불참할 예정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SCO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지만 열병식 참석을 통해 처음으로 다자외교 무대에 선다.

초청 명단의 대다수를 차지한 것은 베트남, 쿠바, 콩고민주공화국 등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개도국) 정상이다. 유럽 정상 중에선 친러시아 성향의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과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만 참석한다. 대만 중앙통신사(CNA)는 “중국이 서방 국가들과 무역, 과학기술,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서 마찰을 빚고 있다 보니 열병식에 참석하지 않도록 선택하게 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북·중·러 정상이 열병식에 함께하는 것을 두고 전문가들의 견해는 엇갈린다. 중국 인민대 스인훙 교수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북한과 러시아가 중국을 매우 불쾌하게 하는 식으로 행동해도 중국은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가도 “중국이 전략적 딜레마 상황에 놓였다”고 평가했다. 북·중 관계가 정상화되는 신호라는 분석도 있다. 아르티옴 루킨 러시아 극동연방대 교수는 “북·러 관계 강화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경제적 생명줄’인 중국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진단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