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1000만 가구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42%나 되는 수치다. 반면 전형적 가족 형태였던 4인 이상 가구는 눈에 띄게 줄었다. 주민등록인구는 저출생 영향으로 5년 연속 감소했다.
행정안전부가 27일 발간한 ‘2025 행정안전통계연보’를 보면 지난해 전체 가구 수는 2411만8928가구로 2020년 2309만3108가구보다 약 100만 가구 증가했다.
특히 이 중 1인 가구 증가세가 뚜렷했다. 지난해 1인 가구는 1012만2587가구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0만 가구를 돌파했다. 2020년 906만3362가구로 900만 가구를 넘어선 지 4년 만이다. 전체 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중도 2020년 39.2%에서 지난해 42.0%로 확대됐다.
1인 가구의 증가는 고령층과 청년층이 주도했다. 70대 이상이 207만1006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189만5855가구), 30대(171만6023가구), 50대(164만1788가구) 순이었다. 60대 이상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39.19%나 됐다.
‘딩크족’ 등 아이 없이 사는 2인 가구도 2020년 540만4332가구에서 지난해 600만5284가구로 증가했다. 3인 가구 역시 소폭 늘었다. 반면 4인 이상 가구는 같은 기간 461만3754가구에서 393만8695가구로 급감했다. 4인 이상 가구가 400만 가구 아래로 떨어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인구 감소는 5년째 이어졌다. 주민등록인구는 2020년 5182만9023명에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5121만7221명으로 61만명가량 줄었다. 다만 전년 대비 감소율은 2022년을 정점으로 다소 완화되는 추세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세종·경기·충남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인구 감소가 이어졌다.
통계연보에는 올해 7월 기준 주민등록인구도 기재돼 있는데, 5115만9889명으로 반년 새 6만명 가까이 더 줄었다. 전체 인구에서 0~14세 유소년 비중은 10.5%,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000만명을 넘어 20.7%로 집계됐다. 우리 사회가 초고령화 단계에 진입했다는 뜻이다.
전국 평균연령은 45.7세로 집계됐다. 이보다 높은 곳은 전남·경북·강원·전북·부산·경남·충남·충북·대구 등 9곳이었다. 전남이 49.4세로 가장 높았다. 세종은 39.4세를 기록해 가장 젊은 지역으로 기록됐다. 두 번째로 젊은 경기(43.9세)와도 차이가 컸다.
안전 관련 지표도 눈에 띈다. 현실화된 기후위기가 수치로 드러났다. 지난해 폭염일수는 30.1일을 기록했다. 전년도 14.2일에서 배 이상 뛰었다. 2020년 7.7일과 비교하면 4배 넘게 늘었다.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는 2022년 2574곳에서 지난해 3001곳으로 16.6% 늘었고, 급경사지 붕괴위험 지역은 같은 기간 1919곳에서 2142곳으로 11.6% 증가했다. 재해위험 저수지 지정 역시 724곳에서 831곳으로 급증했다. 이밖에 생활 속 위험을 직접 신고하는 안전신문고 건수도 2020년 188만여건에서 지난해 1243만여건으로 6.6배 늘었다.
디지털 전환은 국민 생활 전반에서 가속화했다. 온라인 민원 이용률은 2020년 59.4%에서 지난해 83.7%로 급상승했다. 전자증명서 발급 건수도 같은 기간 약 48만건에서 약 2620만건으로 54배 뛰었다. 공공데이터 민간 활용 실적도 3.6배 확대됐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번 통계연보는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변화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라며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민 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기후위기와 안전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 설계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