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이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필리조선소에 50억 달러(약 7조원)를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필리조선소 방문에 맞춰 한·미 조선 산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에 본격 시동을 건 것이다.
한화그룹은 26일(현지시간)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미국 해양청 발주 국가안보다목적선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명명식에서 이같은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환영사에서 “한화는 미국 조선 산업의 새로운 장을 함께 할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미국 내 파트너들과 새로운 투자와 기회를 창출하고 미국 조선산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데 중추적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화그룹이 내놓은 투자 계획은 현재 연간 1~1.5척 수준인 필리조선소의 선박 건조 능력을 연간 20척까지 대폭 늘리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필리조선소에 도크(선박 건조공간) 2개와 안벽 3개를 추가 확보하고, 약 12만평 규모의 블록 생산기지 신설도 추진한다. 또 한화오션이 보유한 자동화 설비와 스마트 야드, 안전 시스템 등도 도입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만들고 함정 블록 및 모듈 공급, 함정 건조까지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필리조선소 현대화에 50억 달러가 들어갈 것으로 한화그룹은 예상한다. 이를 통해 미국 조선업 재건에 기여하고 이와 연관된 한국 내 사업을 확장해 일자리 창출, 조선산업 생태계 강화 등 한·미 양국이 ‘윈윈’하는 청사진을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투자 재원으로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의 지렛대 역할을 한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산업 협력 투자펀드를 활용한다. 해당 펀드는 직접 투자 외 보증·대출 형태로 마련되며 정책금융 기관들이 주도한다.
한화그룹의 미국 해운 계열사인 한화해운(한화쉬핑)도 이날 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MR탱커) 10척과 LNG 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마스가 프로젝트 가동 이후 필리조선소의 첫 수주다.
이번에 발주한 중형 유조선 10척은 모두 필리조선소가 단독 건조해 2029년 초 인도한다는 계획이다. LNG 운반선은 지난 7월 한화해운이 발주한 3500억원 규모 물량의 추가 1척 옵션 계약 이행 차원이다. 한화해운 측은 “신규 발주한 중형 유조선과 LNG 운반선을 통해 미국과 동맹국의 에너지 안보 지원은 물론 글로벌 에너지 물류 분야에서의 리더십 강화와 미국의 해양 부문 재산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