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한·미 양국의 무역 합의를 둘러싼 논란을 전날 한·미 정상회담에서 해결됐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합의 내용을 밝히지 않아 불확실성은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유럽연합(EU)과 일본 등 무역 협상이 완료된 상대국을 언급하던 중 “한국과 (무역 협상에서) 문제가 있다고 들었다. 그러나 어제 (이재명 대통령을) 만났고 그들(한국)은 해결됐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뭔가를 한 게 아니다. 그저 같은 합의를 지킨 것이다. 그(이 대통령)는 합의를 지켰다”고 밝혔다. 또 “그들은 뭔가를 할 수 있을지 보려 했지만 합의를 지켰고 그건 잘된 일”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발언은 한·미 무역 협상에서 남아 있던 쟁점을 전날 정상회담에서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합의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전날 회담 직후에도 “그들(한국)은 합의와 관련해 약간 문제가 있었지만 우리는 우리의 입장을 고수했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는 남아 있던 쟁점과 합의 내용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백악관도 정상회담 이튿날인 이날 회담과 관련한 팩트시트(설명자료) 등을 내놓지 않았다.
미국 언론과 전문가들은 원만했던 회담 분위기를 호평했다. 뉴욕타임스는 “이 대통령은 트럼프와의 중대한 회담을 준비하기 위해 (트럼프의 저서) ‘거래의 기술’을 공부했다”며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의 개인적 외교에 대한 트럼프의 집착과 칭찬 공세가 첫 양자회담을 무난히 넘기도록 도왔다”고 보도했다. 다만 “회담은 실질적인 합의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칼 프리드호프 시카고 국제문제협의회 동아시아 안보 전문가는 이 대통령의 ‘피스메이커’와 ‘페이스메이커’ 발언을 거론하며 “이 대통령은 그 발언으로 모든 시선을 사로잡았다. 그것은 정말 영리한 문구”라고 호평했다.
트럼프의 외교정책을 비판해온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한미연구소 주최 온라인 세미나에서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서로를 공격하기보다 서먹한 분위기를 깼다는 점에서 좋은 시작이었다”며 “두 정상 모두 암살 시도를 겪었다는 점에서 실제로 유대감이 형성된 것 같다”고 평가했다. 다만 “트럼프가 김정은에 대한 지속적인 매혹과 첫 임기 때 했던 세 차례 회담에 이은 또 다른 회담의 열망을 드러냈다는 점이 가장 우려된다”고 말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