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전문가 “긴장 피하고 첫 단추 잘 끼워” 호평

입력 2025-08-26 18:35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방명록 작성 때 쓴 만년필을 선물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언론과 한반도 전문가들은 2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우려됐던 긴장을 피했고 첫 단추를 잘 끼웠다”고 평가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충분한 회담 사전 준비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긍정적 인상을 남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주요 매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특검 수사를 겨냥한 소셜미디어 발언으로 긴장감을 높였지만 회담은 우호적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전했다. 폴리티코는 “백악관 집무실에서 한국이 매우 좋은 날을 보냈다”며 “이 대통령이 ‘북한에 트럼프월드를 짓고 골프를 칠 수 있게 해 달라’는 농담으로 트럼프를 매료시켰다. 이 자체만으로도 승리라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가 소셜미디어에서 한국의 정치적 여건을 비판했지만 회담에선 긴장을 피했다”며 “두 지도자가 첫 만남에서 친밀한 관계(rapp ort)를 쌓는 기회였다”고 보도했다. 신기욱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 소장은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첫 단추를 잘 끼운 것 같다”며 “워싱턴DC에서 이 대통령에 대한 반미, 친중 등 편견이 있었는데 부드럽게 잘 불식시킨 것 같다”고 말했다.

회담 준비에 대한 호평도 나왔다. 폴리티코는 “이 대통령이 골프, 뉴욕증시, ‘피스메이커’ 등 트럼프가 관심 갖는 전형적 주제를 숙지했다”며 “일부 한국 시청자들에게 과도한 아첨으로 느껴졌을 수 있지만 최근 트럼프와의 회담에서 이런 아첨은 관례가 됐다”고 전했다.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언론 입장문에서 “이 대통령이 기회 있을 때마다 트럼프를 칭찬하며 강력하고 역동적인 동맹 관계를 효과적으로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무역·안보 분야 등의 불확실성이 여전해 후속 실무 논의가 중요해졌다는 진단이 나온다. 커틀러 부회장은 “무역에서 양측은 3500억 달러 규모 (한국의 대미) 투자 기금 운영 방식에 대해 엇갈린 해석을 하고 있다”고 짚었다. BBC 는 “두 정상은 회담에서 무역협정과 주한미군 역할 등 논란이 있는 문제에 대한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고 지적했다.

외신들은 한·미 정상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에 공감대를 나타낸 것에도 주목했다. BBC는 “문제는 김정은이 이 대통령이나 트럼프와의 대화를 원할 것인지에 있다”며 “서울과 워싱턴이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사히신문은 “트럼프는 취임 이후 반복적으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부르고 있다. 만약 트럼프가 북한 핵을 사실상 묵인하면 일본과 한국에 대한 위협은 확실히 높아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이 대통령이 트럼프에게 선물한 거북선 모형에 대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 출병했을 때 일본군 격퇴에 큰 역할을 한 조선 군함”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 회담에 대해 “지역 평화와 안정에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