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지방선거를 약 10개월 앞둔 시점에 지방선거기획단을 발족했다. 이재명정부 집권 2년 차에 치러질 지방선거에서 전국적인 압승을 거둬 국정 주도권을 쥐고 개혁에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으로 보인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결별하지 못한 국민의힘과 조국 전 대표 복귀로 다시 존재감을 키운 조국혁신당의 성적표, 공천권을 둘러싼 민주당 내 치열한 주도권 다툼이 3대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은 26일 국회에서 1차 회의를 열고 지방선거 관련 논의를 본격화했다. 기획단장인 조승래 의원은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과 방법, 후보 심사 기준, 공천 과정을 차분하게 준비해 나가겠다”며 “이재명정부 1년에 대한 평가라기보다는 국민께서 이 대통령을 선택한 의미가 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첫 회의에서는 여성·청년 후보에 대한 의무 공천 강화, 인재 영입 필요성 등이 거론됐다.
여당은 전국적인 압승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검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란 심판’을 전면에 내세워 보수 텃밭인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PK) 지역을 집중 공략할 것으로 보인다. 법적인 정당 해산과 별개로 국민의 직접 투표를 통해 사실상 정당 해산에 가까운 정치적 심판을 이끌어내겠다는 취지다. 2018년 지방선거 때도 여당이었던 민주당은 문재인정부 2년 차의 높은 지지율에 힘입어 전국 17개 광역단체장 가운데 14개(대구시장, 경북지사, 제주지사 제외)를 거머쥐며 압승을 기록한 바 있다.
혁신당의 향후 정치 행보도 내년 지방선거 결과에 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조 전 대표 사면 후 첫 전국단위 선거에서 일정 부분 이상 성과를 거둔다면 혁신당은 다음 총선과 대선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기대 이하의 초라한 성적표를 얻게 될 경우 정치적 입지가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혁신당은 핵심 지지 기반인 호남 지역에서는 민주당과 경쟁하는 동시에 영남 지역도 집중 공략하겠다는 구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민주당과의 합당 여부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수도권의 한 민주당 의원은 “혁신당과는 정책적 차이가 거의 없고 지지층이 대부분 겹친다”며 “지방선거 전후로 합당 가능성이 끊임없이 거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방선거를 계기로 여권 내 분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당내에서는 친명(친이재명)계를 자처하는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측이 내년 지방선거에 대규모 출마자를 내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혁신회의는 지난 전당대회에서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이에 혁신회의 측과 정청래 당대표 사이에서 미묘한 신경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지방선거에서 압승할 경우 현 정청래 대표 체제에 더욱 힘이 실리며 당대표 연임 가능성도 언급될 것으로 보인다.
김판 한웅희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