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개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태아·여성보호국민연합’이 다음 달 16일 공식 출범한다. 향후 정부의 낙태 약물 도입에 반대하는 ‘100만 국민 서명운동’ 등 범국민적 활동을 펼쳐갈 계획이다.
이들은 25일 국회 소통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낙태 약물 도입은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의 건강권을 위협하는 정책”이라고 강력히 비판하며 이같이 밝혔다.
단체는 최근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국정 운영 5개년 계획’에 낙태 약물 도입이 포함된 사실이 알려진 직후 비판성명을 내고 이번 기자회견을 준비했다.
홍순철 고려대 안암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임신 10주 태아 사진을 보여주며 “10주 태아는 외형적으로도 이미 사람과 같은 존재”라며 “초음파로 태아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대에 약물로 생명을 종결하는 것은 살인”이라고 비판했다.
장지영 이대서울병원 건진의학과 교수는 해외 통계를 근거로 낙태 약물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그는 “2023년 미국산부인과학회 보고서에 따르면 약물 낙태는 시술보다 합병증 위험이 높고, 임신 10주 이후에는 실패율이 13% 이상으로 급증해 결국 수술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단체는 낙태 약물 도입뿐만 아니라 만삭 낙태와 건강보험 지원 등 생명윤리를 훼손할 수 있는 내용이 담긴 모자보건법 개정안에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다음 달 1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출범식을 갖고 국회 앞 시위와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서명운동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100만명을 목표로 하는 서명운동은 약사, 법조인, 의료인 등 직업군별 서명을 별도로 취합한다.
글·사진=김수연 기자 pro11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