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사망사고가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빈번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여름(6~8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의 60%는 공사비 50억원 미만 현장에서 발생했다. 공사비 규모와 근로자 수가 적은 중소현장의 경우 안전을 담당하는 인력과 비용이 적절히 배치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소규모 현장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건설공사안전관리종합정보망(CSI)에서 지난 6월 1일부터 이날까지 보고된 사망사고 27건을 분석한 결과, 공사비 50억원 미만의 현장이 16건(59.3%)으로 가장 많았다. 사망자는 한 현장에서 2명이 나와 총 17명으로 집계됐다. 1000억원 이상 현장(5건·18.5%), 50억~100억 미만 현장(3건·11.1%) 등 순으로 이어졌다.
국토안전관리원이 지난 3월 발간한 ‘2024년 건설사고 정보 리포트’ 결과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지난해 1년간 건설 현장 사망사고는 192건(사망자 195명)이었고, 공사비 50억원 미만(107명·54.9%) 현장에서 사고가 가장 잦았다. 1000억원 이상 대규모 현장(41명·21.0%)이 뒤를 이었다. 50억원 미만 현장의 건설사고는 1147건으로 전체의 18.6%였다. 사고 건수는 적지만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인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규모 공사장의 인력 부족도 사고를 키우는 것으로 진단된다. 현장에 근로자가 적은 현장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한 비율이 높았다. 올여름 발생한 건설 현장 사망사고 중 74%(20건)가 19인 이하의 극소규모 현장에서 벌어졌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사업을 따낸 현장에서 사고 발생률이 높은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사망사고가 발생한 현장의 경우 낙찰률(발주자의 예상가격 대비 최종 계약가격의 비율)이 90% 미만으로 낮은 경우가 13건에 이르렀다. 안전 투자 비용은 줄이고 최소 인원으로 빠르게 공사를 마무리하려는 경향이 사고를 키울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소현장에 맞춤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소규모 현장은 관리 사각지대에 있다. 현장소장 한 명이 여러 현장을 돌면서 관리하기 때문에 안전에 신경을 거의 쓰기 힘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중소규모 현장은 대기업과 다른 대책이 필요하다. 안전관리자를 현장에 필수로 배치하도록 하거나 안전조치를 하지 않으면 작업 중지를 시키는 게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