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필수의료 전문의 수 격차가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필수의료 지원은 저조한 수준이다.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가 붕괴 직전이다. 소아청소년과 ‘오픈런’, 응급실 ‘뺑뺑이’, 지방 의료 공백 심화 등 필수의료 위기의 징후들은 이제 모두가 피부로 느끼는 현실이 된 것이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수도권의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는 평균 1.86명이다. 비수도권은 0.46명에 불과해 격차가 무려 4배나 됐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의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가 3.02명으로 가장 많았고, 세종은 0.06명으로 가장 적었다. 이번 조사는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등 8대 필수의료 과목을 대상으로 지역별 전문의 수를 집계한 것이다.
이런 현상은 올해 하반기 주요 대형 병원 전공의(인턴·레지던트) 모집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의정갈등으로 전공의들이 수련병원을 떠난 뒤 처음으로 대거 복귀하고 있지만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와 비수도권 수련병원 지원율은 저조한 상황이다. 비수도권 병원에서 수련받던 전공의들이 수도권 대형 병원으로 자리를 옮겨 지역 병원에 공백이 생기는 ‘도미노 현상’도 대거 나타나고 있다. 정주 여건 문제 등으로 수도권 선호 현상이 지속되면서 지역 간 의료인력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필수의료 공백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사회 전체의 문제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정부는 수가 현실화를 통해 필수의료 분야의 가치를 인정하고, 의료인들이 소신껏 진료할 수 있도록 안전한 진료 환경을 마련해줘야 한다. 지역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공공 의료 강화와 의료 자원 재분배 정책도 뒤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