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극한 기상상황과 자연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기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와 민간 업계 등과 협력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19일 서울 강남구 도시관제센터를 방문해 지능형 폐쇄회로(CC)TV 등을 활용한 도시 재난 대응 현황 관련 안내를 받고 현장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현장 간담회에서 배 장관은 각계 전문가와 함께 자연 재난 대응을 위한 AI 개발부터 실제 재난대응 현장 적용 사례, AI 활용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과기정통부·환경부와 협력해 진행한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과 댐 방류 대비 침수 예측 등 물관리 플랫폼 개발 사례를 소개했다. 민관 협력으로 고도화한 내비게이션 홍수기 도로 위험 알림 서비스도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AI 이용 자연재난 대응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재난 상황 데이터와 국토 정보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배 장관은 “기존 재난 대응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열쇠로서 AI의 잠재력에 주목할 때”라며 “자연재난 대응에 AI·디지털 기술 활용이 활성화되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