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사진) 국무총리가 다가오는 한·미 정상회담의 최대 현안인 동맹 현대화에 대해 “우리의 필요는 따로 있는 것이고, 그에 맞춰서 하나하나 논의를 시작해가면 된다”면서 “우리의 안보·평화를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절대적 명제와 조화시켜 나가면서 풀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19일 서울정부청사 별관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갖고 “(동맹 현대화는) 미국의 여러 가지 사정과 방향 때문에 진행되는 측면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협상 테이블에서 일방적으로 끌려다니거나 도움만 받는 게 아니라 동등한 위치에서 협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어제 미국분들을 만났는데 ‘이제 한국은 미국의 리틀 브라더가 아닌 파트너다. 파트너일 수 있는 점을 충분하고 당당하게 설명하는 것이 좋다’는 말을 들었다”며 “굉장히 맞는 말”이라고 강조했다.
파트너로서 한국의 역할 확대를 보여주는 예로 한·미 관세 협상에서 정부가 협상 카드로 제시한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언급했다. 그는 “(마스가가) 한·미 관계에 있어서 과거와 다른 영역의 모델이 되지 않을까 한다”며 “일방적으로 미국의 도움을 받는 게 아니라 미국에도 필요할 때 한국이 결정적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협력의 소재를 잘 찾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그런 영역이 더 많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이재명정부의 산업재해 감축 목표에 대해선 “전체적으로 (산업) 수준에 맞지 않는 걸 조정해가는 과정”이라고 피력했다. 또 “후진적인 산재 문화를 그대로 둔 채 K민주주의, K컬처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선진 경제로 나아간다는 한국 경제의 지향이 맞는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며 “지금은 산업 문화에 변화가 필요한 시기”라고 부연했다.
검찰개혁과 관련해 김 총리는 필요할 경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 총리는 “검찰개혁을 상당히 강조해서 주장했던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간에도 의견이 다른 내용이 상당히 존재한다”며 “국민이 볼 때 졸속이라거나 엉성하게 간다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꼼꼼하게 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여당 간에, 검찰개혁을 주장해 온 각 정당 간에 조율할 시간을 충분히 갖는 게 좋다”며 완수 시한을 언급하지 않았다. 정부 지지율 하락세에 대해선 “내란을 극복하고, 중도실용·실용의 관점에서 민생경제를 살리는 것을 일관되게 시행해 가는 것 외에 다른 왕도는 없다”고 답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