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서울 서초구 반포동. 20대 남성 A씨가 새벽 시간에 골목길을 배회하며 다세대 주택을 수차례 오갔다. A씨는 지문이 남는 걸 막기 위해 라텍스 장갑을 끼고 있었다. 이 모습은 서울시 CCTV 통합관제센터의 CCTV에 실시간으로 포착됐다.
CCTV 관제 요원은 이 상황을 속칭 ‘던지기’로 의심해 경찰에 신고했다. 던지기는 마약을 투약자에게 몰래 전달하는 수법이다. 경찰은 즉각 출동해 A씨를 검거했다. A씨의 가방 속에는 필로폰 봉지 21개가 있었다. 이미 배달된 봉지 18개를 더해 39개의 봉지가 회수됐다.
서울시는 최근 2년간 실시간 CCTV 관제로 마약 의심 행위 358건을 적발하고, 수사기관이 36명을 검거하도록 지원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 전역의 CCTV 11만3273대를 활용한 결과다.
자치구별 의심 행위 적발 건수를 보면 서초구(111건)와 강남구(63건)가 많았다. 두 자치구만 174건으로 전체의 48.6%를 차지했다. 검거 장소는 주택가 인근(12명), 도로·차량(13명)이 69.4%에 달했다. 생활공간과 밀접한 곳에서 검거되는 양상을 보인 셈이다.
시는 관제 요원 322명을 대상으로 CCTV로 마약 범죄를 식별할 수 있는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인천지방검찰청 수사관이 직접 강의한다. 2023년부터 지금까지 6회의 교육이 진행됐다. 배달 기사로 위장해 마약을 배달하는 수법 등 최신 사례가 교육에 반영됐다.
시는 온라인에서 일어나는 마약 범죄에 대한 감시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현재까지 SNS, 포털사이트에서 마약 관련 게시물 1만621건을 적발해 차단을 요청했다.
한편 시는 지난 6월부터 지난달까지 음식점 1985곳을 대상으로 식품위생법 준수 여부를 점검해 22곳을 적발했다. 식중독 위험이 큰 여름을 맞아 위생 점검을 한 결과다.
현장 점검에서는 음식점 15곳의 위반 사실이 드러났다. 위반 사항은 건강진단 미시행(1곳), 위생 불량(1곳), 위생모 미착용(5곳), 음식물 쓰레기통 뚜껑 미설치(7곳), 시설물 멸실(1곳) 등이었다. 시는 과태료 부과(7곳), 시설 개수 명령(7곳), 직권 말소(1건)의 행정 조치를 내렸다.
식품 136건을 수거해 진행한 검사에서는 7곳이 적발됐다. 망고 빙수(1건)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냉면·콩국수(4건)에서 대장균이, 식용 얼음(2건)에서 세균이 기준치를 최대 50배 초과해 검출됐다. 시는 판매 업체 7곳을 영업정지 처분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