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18일 김건희 특검과 법원을 항의 방문하며 당원명부 압수수색 시도에 집단 반발했다. 특검이 지난 13일에 이어 이날 다시 압수수색영장 집행을 시도하자 국민의힘 지도부는 비상 철야대기에 돌입했다. 특검은 난감한 분위기다. 김건희 특검이 맡은 통일교 집단 입당 의혹뿐 아니라 내란 특검이 수사하는 비상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 등에 대한 수사도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서다.
국민의힘은 이날 김건희 특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웨스트빌딩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을 차례로 방문해 비상의원총회를 열었다. 김건희 특검의 당원명부 압수수색 시도와 법원의 압수수색영장 발부에 항의하는 차원이다. 국민의힘 의원 약 70명이 참석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비대위회의에서 “당원 전체를 잠재적 범죄자 취급하는 반인권적 야당 탄압 압수수색에는 일절 협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건희 특검은 이날 두 번째로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국민의힘 사무실을 찾아 압수수색영장 재집행을 위한 협의에 나섰지만 성과 없이 발길을 돌렸다. 송 위원장은 의총 후 “당원명부를 절대 내줄 수 없다는 데 총의를 모았다”며 “비대위원장으로서 집무실을 당사로 옮기고 철야 비상대기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압수수색에 대비해 순번을 정해 당사를 지킨다는 방침이다.
건진법사를 통한 통일교 집단 입당 의혹을 수사 중인 특검팀은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통일교 신도 명단과 당원명부를 비교·대조해야만 의혹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수사 진도를 내지 못하고 시간만 보내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특검 안팎에선 당원명부 압수수색을 명분 삼아 국민의힘이 내부 단속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반응도 나온다. 문홍주 특검보는 지난 14일 브리핑에서 “500만 당원 확인을 안 하더라도 목표로 하는 압수수색을 할 수 있다고 충분히 설명했는데 합의까지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반발은 내란 특검 수사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내란 특검은 추경호 당시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가 계엄 해제를 의도적으로 방해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내란 공모·방조 등 혐의 여부를 확인하려면 윤석열 전 대통령과 추 의원 간 통화 내용을 들었거나 당시 의원총회 장소가 변경된 사정을 잘 아는 의원 진술이 필요하다. 추 의원은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표결 관련 논의가 전혀 없었다는 입장이다.
내란 특검은 안철수 의원에게 첫 참고인 조사를 요청했지만 안 의원은 “내란 정당 낙인 시도”라며 반발했다. 표결에 참여했던 조경태·김예지 의원 외 조사에 응한 국민의힘 의원도 현재까지 없다. 박지영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시기적으로도 민감하고 당의 행사 등으로 (의원들) 출석에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 진술 외 방법으로 증거를 수집하거나 의원 아닌 (사람들의) 추가 조사를 진행하고 있어 조만간 피혐의자 중심으로도 조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내란 특검은 이날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양한주 이강민 기자 1wee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