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인공지능(AI) 2단계 ‘AX실증밸리’ 조성 사업이 국무회의 문턱을 넘으면서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광주시에 따르면 18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광주 AI 2단계 사업계획이 의결됐다. 이에 따라 AI 2단계 사업인 ‘AX실증밸리’ 조성 사업은 향후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심의·의결을 통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가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올 하반기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거쳐 2026년부터 5년간 본격 추진된다.
시는 AI 1단계 사업 성과와 AI 데이터센터 등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총 6000억원 규모의 2단계 사업을 통해 향후 5년간 AI 융복합기업 1000개 유치를 목표로 한다.
특히 AI 2단계 사업을 통해 시민들의 일상과 도시에 AI를 입힐 방침이다. 시민 체감형 연구개발과 도시생활 전반을 바꾸는 도시생활형 과제를 통해 모든 시민이 AI 기술의 혜택을 체험하고 공유하는 ‘모두의 AI 모델’을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총 사업비 6000억원 가운데 3000억원은 광주시 전략산업인 모빌리티와 에너지산업 AX 핵심기술 개발에 투입된다. 이를 통해 이재명 정부 지역공약인 ‘AI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과 ‘RE100 산단 조성’을 빠르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2단계 사업은 생산유발 9831억원, 부가가치유발 4942억원, 고용유발 6281명 등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크며, 이 가운데 약 70% 이상은 광주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시는 내년 시행되는 ‘국가 인공지능 집적단지’ 지정 신청과 함께 연구개발(R&D)과 실증이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규제 완화, 신속 행정, 세제 지원을 포함한 AI 규제자유특구 지정도 함께 추진하며, 공모를 앞둔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5년간 4300억원 규모로 추진된 AI 1단계 사업은 탁월한 선택이었다”며 “AI산업에 대한 개념조차 확실하지 않았던 시기에 광주는 SOC사업 대신 AI를 선택했고, 이 전략적 선택으로 산업의 불모지로 불렸던 광주는 ‘AI 중심도시’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얻었다”고 말했다.
이어 “AI 2단계 사업은 본격적으로 AI가 도시와 시민생활을 혁신하는 프로젝트”라며 “우리 시는 2단계 사업을 통해 추가로 700개 기업을 유치하는 등 1000개 기업을 집적화시켜, 지속가능한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