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유럽 주요 도시들과 함께 ‘미래형 생활권 도시계획’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유럽연합(EU)의 대규모 연구혁신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의 도시혁신 파트너십 과제로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지원하는 ‘협력거점형 국토교통 국제협력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추진된다.
시는 지방자치단체로 서울대학교, 인천대, 한국조지메이슨대, 현대자동차, 사이트플래닝 등과 함께 연구에 참여한다. 스웨덴 스톡홀름·예르펠라·베스테르비크, 노르웨이 로갈란 등 유럽 도시들과도 도시 접근성 및 교통 시스템 전환 관련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연구 목표는 ‘일상 생활의 15분 내 생활인프라를 재편성한다’는 ‘15분 도시’ 개념에서 확장된 ‘i분 도시’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시는 시민이 직접 생활권 경계와 중심지를 제안하는 시민참여형 도시계획 방식으로 모형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리정보시스템(GIS) 시민 설문조사와 15분 생활권 네트워크 분석을 시범적으로 수행했고 365일 24시간 시민 의견을 반영하는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내년부터 2년간 디지털 접근성 분석, 교통시스템 실증 실험, 시민참여형 정책 설계 등 연구 및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연구를 통해 세계 주요 도시들과의 정책 및 기술 교류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인천은 다양한 도시 유형이 공존하는 복합 도시로 i분 도시 모델 정립의 최적지”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글로벌 도시로서의 정책 역량을 키우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