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미래 전략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SMR(소형모듈원자로) 개발·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대구시와 경북도가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역 사업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친환경 에너지 비중이 높은 현 정부 정책 방향을 잘 따라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는 최근 국정목표·과제를 발표했다. 이 중 에너지 분야 기조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등 친환경 에너지에 집중됐다. SMR 등 원전에 관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다. 이에 대구·경북에서는 그동안 공을 들린 SMR 사업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 걱정하는 모습이다.
17일 대구시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경북도는 SMR 개발·도입에 특히 적극적이었다. 2023년 경주시가 SMR 국가산업단지 최종 후보지로 선정돼 SMR 선도 기틀을 마련했고 이후에도 관계 기관·기업들과 협약 등을 통해 SMR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도 지역 미래 산업 전환을 위해 SMR 도입에 나서고 있다. 인공지능(AI)데이터센터 등 전력집약형 신산업 유치를 위한 전력자립률 100% 달성을 위해 태양광과 수소연료,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대구경북신공항 인근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SMR을 도입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SMR이 친환경 에너지원이라는 점을 적극 내세울 방침이다. SMR은 기존 대형 원전 대비 규모를 줄이고 작동 방식을 바꿔 개발 비용을 낮추고 안전성을 높였다.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수소 등과 함께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도 SMR 개발 열기가 뜨겁다.
시와 도는 새 정부 정책에 맞춘 지역 사업 전략 마련을 위해 이미 태스크 포스(TF)를 구성했다. 대구경북TF에서 다른 현안 사업과 함께 SMR 등 에너지 관련 부분도 심도 있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조만간 발표될 지역 관련 국정과제 내용까지 포함해 지역 에너지 사업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