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한 대화 의지를 피력했다. 일본에는 과거사 직시를 요구하면서도 ‘중요한 동반자’라며 미래지향적 협력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남과 북은 원수가 아니다. 서로의 체제를 존중하고 인정하되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의 특수관계”라며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전 정부에서 끊어진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는 것으로 남북 간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신뢰 회복과 대화 복원부터 시작하는 것이 순서”라며 “앞으로도 실질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일관되게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전단 살포 및 확성기 방송 중단 등 새 정부 출범 후 취한 대북 유화 조치를 거론하며 “앞으로도 실질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일관되게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북 간 우발적 충돌 방지와 군사적 신뢰 구축을 위해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단계적으로 복원해 나가겠다”며 “신뢰를 회복하고, 단절된 대화를 복원하는 길에 북측이 화답하길 인내하며 기대하겠다”고 호소했다.
이 대통령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평화로운 한반도는 핵 없는 한반도”라는 원칙을 언급하면서도 “비핵화는 복합적이고 어려운 과제임을 인정한다. 남북, 미·북 대화와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평화적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며 국제사회의 지지와 공감대를 넓히겠다”고 말했다.
일본에 대해서는 과거사 문제와 상호협력 부분을 별도로 추진하는 ‘투트랙’ 기조를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이자 한·일 수교 60주년이 되는 해로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윤석열정부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던 과거사 문제도 꺼냈다. 이 대통령은 “일본 정부가 과거의 아픈 역사를 직시하고 양국 간 신뢰가 훼손되지 않게 노력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주문했다.
하지만 경축사의 방점은 과거사보단 한·일 간 미래 협력에 찍혀있었다. 이 대통령은 “일본은 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이자 경제 발전에서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동반자”라며 “양국이 신뢰를 기반으로 미래를 위해 협력할 때 초격차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도 능히 헤쳐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른바 ‘내란 세력’에 대해서는 “민주주의를 억압하고 국민주권을 제약한 것도 모자라 전쟁의 참화로 국민을 몰아넣으려는 무도한 시도마저 서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낡은 이념과 진영에 기초한 분열의 정치에서 탈피해 대화와 양보에 기초한 연대와 상생의 정치를 함께 만들자”고 촉구했다.
최승욱 윤예솔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