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李 “분열 정치 탈피” 제안, 정치권 호응해야

입력 2025-08-16 01:10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우리 정치가 국민의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낡은 이념과 진영에 기초한 분열의 정치에서 탈피하자”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정치 문화를 바꿔야 한다”며 “대화와 양보에 기초한 연대와 상생의 정치를 함께 만들어갈 것을 거듭 제안하고 촉구한다”고 말했다. 북한 및 일본을 향한 메시지를 강조하며 대내적으로는 국민통합을 언급하는 정도였던 역대 대통령들의 광복절 경축사와 달리 국내 정치와 관련한 제안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대북·대일 관계 개선도 국론이 분열되어선 달성하기 어렵다. 더 늦기 전에 통합의 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이 대통령의 제안이 더 인상적인 이유는 최근의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와 대비되기 때문이다. 지난해 79주년 기념식은 두 동강이 난 채 치러졌다. 뉴라이트 성향이라는 지적을 받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을 둘러싼 논란으로 인해 광복회 등의 독립운동단체와 당시 야권은 정부 주최 행사와 별도로 행사를 열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그 전해인 2023년 광복절 경축사에서는 “반국가세력들이 조작 선동으로 여론을 왜곡하고 사회를 교란한다”고 주장하며 국론 분열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통합을 상징하는 푸른색과 붉은색, 흰색이 교차하는 넥타이를 맨 이 대통령은 남북관계와 관련해서도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 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는 남북 간 기존 합의를 존중하며 가능한 사안은 바로 이행하겠다”는 얘기도 했다. 한·일 관계에 대해서는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라며 “미래지향적인 상생협력의 길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북·대일 관계에서도 화해와 협력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이 대통령은 “열강들의 틈바구니에서 치이다 국권을 빼앗겼던 120년 전 을사년의 과오를 되풀이할 수는 없다”고 했다. 우리가 급변하는 세계 정세의 소용돌이 한가운데에 있으며 안보·통상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는 점을 에둘러 강조한 셈이다. 험난한 현실을 헤쳐 나가려면 국론 통합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여전히 정국은 살얼음판이다. 이 대통령이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만큼 여야 정치권도 분열 정치에서 벗어나는 데 적극 호응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