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독립유공자 찾는다”… 지방정부·연구기관 총력전

입력 2025-08-15 00:53
광복절 80주년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외벽에 독립운동가들의 대형사진이 걸려 있다. 왼쪽부터 김구 주석, 유관순 열사, 만해 한용운, 이봉창 의사, 저항시인 윤동주, 임시정부 요인 조소앙 선생. 연합뉴스

광복 80주년을 맞아 전국 지방정부와 연구기관이 숨은 독립운동가를 발굴하고 재조명하는 데 팔을 걷어붙였다.

경기도는 올해 말까지 ‘독립운동 유공자 및 참여자 발굴 연구 용역’을 추진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경기도는 넓은 지역과 많은 인구수, 의미 있는 독립운동 항쟁지를 보유하고 있지만 현재 국가보훈부 공훈록에 기록된 경기도 출신 독립운동가는 약 1531명(본적 기준)으로 전체 지정 인원의 8.3%에 불과하다. 이에 경기도는 객관적 입증자료가 부족해 서훈을 받지 못한 독립운동 참여자를 대상으로 문헌·현장조사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해 국가 예우를 받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경기북부보훈지청은 잊혀진 독립유공자 묘소를 찾아 헌화·태극기 비치·묵념 등 ‘광복 80, 묘소 참배 캠페인’을 연말까지 진행한다.

제주도 역시 올해 6월 ‘광복 80주년 기념사업준비위원회’를 꾸리고 독립유공자의 헌신을 조명하는 다양한 사업을 논의해 왔다. 도는 제주보훈청과 협력해 독립운동가 222명의 공훈을 기리는 서적을 연말 발간하고, 제주 항일운동사를 정리한 교육용 소책자도 제작해 배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독립과 재건을 위해 희생한 인물들을 기억하고 화합의 메시지를 전한다는 방침이다.

경남도에서는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독립운동가 찾기 전담’ 공무원을 둬 상시 발굴 활동을 벌이고 있다. 고미란 주무관은 수십 년 전 수형인 명부, 한자·일문 고문서 등을 뒤져 기록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서훈 포상 신청을 하고 있다. 지난 6월 산청 만세운동에 참가한 김선림 선생 등 독립유공자 8명의 서훈 성과가 대표적 사례다. 현재 발굴해 둔 미서훈 독립유공자만 2300여명에 달한다.

경북도는 2020년부터 ‘독립유공자 발굴 및 선양사업’을 통해 793명의 독립운동가를 찾아내고, 이 중 399명을 포상 신청해 총 65명이 정부로부터 건국훈장·건국포장·대통령표창 등을 받았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2522명의 독립유공자를 보유한 경북도는 국가기록원 형사기록, 일제 문건, 신문·잡지 자료를 직접 조사해 서훈 가능 대상을 확정하고 본적지를 확인하는 현장조사까지 진행한다.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에는 유공자 이름을 새긴 ‘추모벽’을 조성해 현재까지 2231명을 등재했고, 올해 291명을 추가할 예정이다.

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는 지난 7년간 5251명의 독립유공자를 발굴해 정부 포상을 신청했다. 전국 대학·대학원 중 유일하게 독립유공자 발굴 전문 연구를 하는 이곳은 의병 30만명, 3·1운동 202만명 등 전체 독립운동 참여자를 약 244만명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조사·발굴을 이어갈 계획이다. 최근에는 강화도 3·1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한 조봉암 지사의 사례를 발굴해 포상 신청했다.

박재구 문정임 이임태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