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다해 지킨 나라와 신앙… “선대의 결단 새롭게 되새겨야”

입력 2025-08-15 03:00
독립운동가 최영돈 선생의 손자 최상도 호남신학대 교수가 최근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내에 있는 메모리얼 홀에서 “조국과 신앙을 위해 투신한 선대들을 이어 시대적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신석현 포토그래퍼

광복 80년을 맞아 한국교회는 무엇을 기억하고 이어가야 할까. 조국과 신앙을 위해 목숨을 바친 선조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그들의 후손이 전하는 믿음의 유산을 들어본다. 국민일보는 독립운동가 최영돈(1897~1985) 선생의 손자 최상도(52) 호남신학대 교수와 신사참배 거부로 순교한 주기철(1897~1944) 목사의 손자 주승중(67) 주안장로교회 목사를 통해 독립운동과 순교라는 역사 속에서 신앙의 유산을 조명했다.

서대문형무소에서 되새긴 십자가의 길

최근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입구에 들어서자 철문 너머로 붉은 벽돌 건물이 차례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날 기자와 동행한 최 교수는 독립운동을 한 할아버지가 실제 갇힌 곳은 아니지만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고통받았던 이 장소가 남다르게 다가왔다고 전했다.

“이곳에 올 때마다 할아버지가 어떤 생각이셨을까 생각합니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제가 열 살이었는데 그때는 그 마음을 다 이해할 수 없었어요.”

입구를 지나 좁은 복도를 걷는 동안 마치 오래전의 공기가 되살아오는 듯 숨이 가빠졌다. 벽에는 당시 수감자들의 사진과 기록이 걸려 있었고 습기 섞인 냄새가 그 시절의 차가운 공기를 전했다.

최 교수는 전시실 한쪽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이 빼곡히 적힌 메모리얼 홀 앞에서 발걸음을 멈췄다. 그는 “할아버지께는 혈연보다 더 진한 운명을 함께하는 동지가 있었을 것”이라며 “굉장히 외로운 길을 가는 데 동지들과 함께한다는 양면적 감정이 끊임없이 있었을 것 같다”고 밝혔다.

독립운동가 최영돈 선생은 1919년 경북 대구·김천에서 3·1만세운동을 주도하며 지역 독립운동의 불씨를 지폈다. 그는 잔혹한 태형 90대의 고문을 당하면서도 독립을 향한 열망을 잃지 않았다. 신앙인으로서 독립운동을 사명으로 여긴 그는 고문 후유증 속에서도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을 돕고 독립운동가들을 후원하는 등 헌신적인 삶을 살았다.

목회자가 되기 위해 평양 장로신학교를 수학했다. 그의 삶은 신앙과 민족애가 결합된 숭고한 헌신의 본보기로 남아 있다.

최 교수는 “할아버지의 신앙은 자기 보신을 위한 신앙이 아니라 생존을 넘어 생명을 향한 신앙이었다”고 전했다.

최 교수는 광복 80년을 맞는 한국교회의 과제로 분단 극복을 꼽았다. 하지만 그의 접근법은 남달랐다. 통일에 대한 열망이 이전보다 못한 상황 속에서 거시 담론으로 접근하기보다는 미시적으로 와닿게 이야기하는 게 실질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영국에서 유학 중인 자녀들의 이야기를 예로 들었다. “자녀들에게 ‘아시안 고속도로’가 연결되면 한반도에서 중국을 거쳐 유럽까지 기차타고 갈 수 있다고 이야기해줍니다. 통일이 되면 세계관이 완전히 달라질 것입니다. 우리끼리 경쟁하는 게 아니라 훨씬 확장된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거예요.”

그는 광복절의 의미에 대해 “신앙과 자유를 지키기 위한 결단을 새롭게 하는 날로 삼아야 한다”며 “신앙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동반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 크리스천들도 시대적 사명을 감당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순교 영성으로 십자가 복음 외쳐야

최영돈 선생과 같은 시대를 살며 신앙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또 다른 인물이 있다. 바로 주기철 목사다. 독립운동과 순교라는 서로 다른 길이었지만 신앙의 원칙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내려놓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신사참배 거부로 순교한 주기철 목사의 손자인 주승중 주안장로교회 목사. 국민일보DB

주기철 목사의 손자 주승중 목사는 14일 국민일보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광복은 하나님께서 우리 민족에게 베푸신 큰 은혜다. 우리의 힘이 아닌 하나님의 섭리로 주어진 것”이라고 했다.

그가 기억하는 할아버지는 강인한 신앙인이기 전에 연약한 사람이었다. “감옥에서 고문을 두려워하셨고 가석방으로 집에 오셨다가 다시 잡혀가게 됐을 때 팔순의 어머니께 ‘제가 변절할까 두렵습니다. 기도해 주세요’라고 부탁하며 우셨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런 연약함 속에서도 끝까지 신앙을 지켜낸 할아버지의 모습을 보며 주승중 목사는 오늘날 한국교회에 대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하나님의 은혜와 순교자들의 피로 자란 한국교회가 물량주의·교권주의에 흔들리고 있다”며 “값싼 은혜를 남발하는 강단 대신 순교의 영성으로 십자가 복음을 외쳐야 한다. 그럴 때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진정한 복음으로 거룩한 부흥이 다시 일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김아영 김동규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