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방미 앞선 한·일 정상회담, 3국 협력 강화에 도움돼야

입력 2025-08-14 01:10
이재명 대통령이 6월 17일(현지 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오는 23~24일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 대통령실은 어제 “한·일 정상은 양국 간 미래지향적 협력의 발판을 공고히 하고 한·미·일 공조 강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눌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이 대미 관세협상, 한반도 안보 등 공통 관심사에서 의견을 공유한다면 뒤이은 한·미 정상회담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의 방미 전 방일은 다목적 카드로 여겨진다. 먼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미리 한 이시바 총리를 통해 일종의 협상 노하우를 얻을 수 있다. 우리 관세 협상팀도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했다. 하지만 예측불허인 트럼프 대통령과의 단독 정상 회담은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 미리 접한 일 총리에게 조언을 얻는 것을 이상하게 볼 필요는 없다. 대미 수출 구조가 유사하고 동일한 상호·품목관세(15%)를 부과받은 양국이 미국의 관세 폭탄에 공동 대응할 여지도 만들 수 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이 일본, 미국을 차례로 방문하면서 한·미·일 협력 강화 메시지를 자연스레 내비치는 효과도 고려한 듯하다. 이재명정부를 여전히 친중 성향으로 보는 국내외 일부 인식을 불식시키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방미 대비라는 목적을 떠나 올해는 광복 80주년이자 한·일수교 60주년이어서 이 대통령의 첫 방일은 의미가 크다. 지난 6월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에서 셔틀 외교를 조속히 재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번 방일은 그 출발을 알린 격이어서 양국 신뢰가 돈독해지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한·일 관계는 정권 초엔 순항하다 이후 정치적 요인으로 매번 후퇴하곤 했다. 하지만 통상·안보·공급망이 재편되는 격변의 시기에 일본은 우리의 최적 파트너다. 국가의 미래를 위해 일부 난관을 딛고 한·일이 손잡는 것이야말로 현 정부가 주창하는 실용·실리외교를 실천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