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외교부가 외교 전략·정보, 한반도 정책을 다루는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의 공백으로 노심초사하고 있다. 주미대사도 한 달째 공석이어서 이재명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데뷔전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13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조구래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은 최소 일주일 전부터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해외도피 의혹과 관련해 지난 11일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받았다. 조 본부장은 지난해 이 전 장관이 호주대사로 임명될 당시 외교부 기획조정실장을 맡아 인사, 예산 등 조직 관리를 총괄했다.
조 본부장은 최근 사의를 표명했으나 아직 사표가 수리되기 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무실로 출근은 하고 있지만 관련 업무는 사실상 올스톱된 상태다. 외교전략정보본부에는 외교전략기획국, 외교정보기획국, 한반도정책국, 국제안보국이 속해 있다. 특히 한반도정책국은 북핵 문제에 대한 외교 정책을 담당한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과 양자 협의를 진행하고, 관련 국가와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국제사회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역할도 맡는다. 차관급인 본부장은 한국 측 북핵 수석대표로서 주요국과 북핵 문제도 조율하는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외교부 주요 보직 중 하나인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이 사실상 ‘부재’하면서 한반도 문제 대응의 동력 약화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번 회담에서도 북한 비핵화와 새 정부의 대북 정책은 빠질 수 없는 현안이다. 조 본부장의 후임 인사가 나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전망이다. 고위공무원으로서 검증 절차도 거쳐야 하는 데다 12·3 비상계엄, 조기 대선의 여파로 외교부 내 연쇄적인 인사 수요가 쌓여 있어서다.
외교가에선 한 달째 주미대사 공석까지 이어지면서 외교 역량이 온전히 발휘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재명정부 출범 후 조현동 전 주미대사는 이임 지시를 받고 지난달 12일(현지시간) 귀국길에 올랐다.
현재 이준호 주미대사관 정무공사가 대사대리를 맡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외교 소식통은 “대사대리로서는 외교적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만날 수 있는 상대국 주요 인사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외교부 측은 “장차관, 관계 당국자들이 대통령실과 조율하면서 준비에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한·미 정상회담 준비에 차질은 없다”고 강조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