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아침 떡국을 끓이기 위해 모인 네 명의 청춘들. 하지만 이들은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아니다. 보육원에서 나와 각자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던 이들이 한 지붕 아래 모여 만들어낸 조립식 가족이다. 지난 6일 막을 올린 연극 ‘조립식 가족’은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들의 애환을 그린 작품으로 이달 말까지 공연될 예정이다. 2021년 초연 이후 보육원 출신 당사자들이 직접 기획해 깊은 울림을 선사해 온 이 작품은 3년 만에 돌아오며 보육원을 직접 방문하는 등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떡국 한 그릇에 담긴 그들만의 설날
보육원 퇴소 후 홀로서기에 어려움을 겪는 자립준비청년들에게 설날은 외로움이 극대화되는 시기다. 그래서일까. 보육원에서 태어나 혼자 살아온 정식은 “같이 설음식을 만들어 먹자”고 간절히 조른다.
결국 설날 오후 정식과 희정이 함께 동그랑땡을 만든다. 늦게 일어난 정미가 그들이 만든 동그랑땡을 집어먹으며 어린 시절 설날을 회상하는 장면에서 관객들의 가슴이 먹먹해진다. “정식이한테 들었을 거 아니에요. 저 그냥 갈 데 없어서 여기 있는 거예요.”
남편의 바람과 시댁의 구박을 견디다 못해 정식이네 집에 얹혀사는 정미의 솔직한 말에 무거운 침묵이 흐른다. 내 집 마련까지 성공한 정식이지만 어린 시절 형들에게 맞아 다리를 저는 그는 여전히 자신을 온전히 사랑하지 못한다.
정식이가 4살 연상의 보육원 선배이자 청년 사업가인 모세, 보육원 후배이면서 택배 물류 사원으로 일하는 희정, 그리고 정미까지 혈연관계가 아닌 이들과 한 식탁에 둘러앉아 새해를 맞는 모습에 관객들은 가족의 새로운 정의를 발견하게 된다. 상처와 분노, 아픔으로 점철된 이들의 대화 속에는 자립준비청년들의 애환이 오롯이 담겨 있다. 작품은 그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현실을 대하는 이들의 모습을 유쾌하게 풀었다.
연극은 희망적인 메시지로 마무리된다. 갈등과 상처를 딛고 정식과 정미가 한 아이를 입양하기로 하면서 이 커플과 모세, 희정은 가족의 의미를 배운다. 혈연이 아닌 선택으로 맺어진 가족, 그것이 바로 조립식 가족의 진짜 의미였다.
장례식에서 시작된 이야기
이 연극의 특별함은 자립준비청년 당사자가 직접 기획했다는 점이다. 이성남 한국고아사랑협회장은 최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협회는 보육원을 퇴소한 40대 당사자들이 만든 단체”라며 “우리는 아직도 보육원 퇴소 후의 삶을 생생히 기억한다. 그 기억은 가난 그 자체보다 다름에서 비롯된 불안감과 상실감, 결핍의 기억이었다”고 회고했다.
이 작품이 탄생한 계기는 한 보육원 후배의 죽음이었다. 열심히 일하던 후배가 30대 후반에 폐암으로 세상을 떠났을 때 장례식장에는 50명의 친구가 모였다.
“평소 조용한 친구였는데 장례식장에 50명이나 모인 거예요. 알고 보니 너무 외로워서 매일 50명의 친구에게 전화를 걸었던 거죠. 절반 이상이 그 친구의 전화를 받아줬어요. 죽은 친구가 우리를 모아준 역할을 한 거죠. 그때 우리가 떼려야 뗄 수 없는 가족이라는 것을 깨달았어요.”
협회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연극을 기획했다. 이 회장은 “다양한 배경의 친구들이 모여 퍼즐을 이뤄 살아가는 것도 가족과 같다는 의미에서 제목을 정했다”며 “이 작품을 통해 자립준비청년을 향해 편견을 갖는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길 소망한다”고 전했다.
엄마라고 불러도 돼요?
출연 배우들은 자립준비청년 출신은 아니지만 이들의 아픔에 깊이 공감하며 역할에 몰입했다. 이번 공연을 준비하며 연출을 맡은 김태영씨는 경북 김천 임마누엘 보육원을 직접 방문했다. 그곳에서 만난 보육사에게 그동안 키우고 떠나보낸 아이들이 했던 말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무엇인지 물었다고 한다. 오랜 침묵 후 ‘엄마라고 불러도 돼요?’라는 대답을 듣고 공연팀 모두 울컥했다고 전했다.
그는 “크리스천으로서 평소 형제자매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데 그 언어 속에는 우리가 한 아버지의 품에서 모두 한 가족이라는 의미가 있다”며 “그리스도 안에서 더 많은 가족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며 그 의미를 관객들과 나누고 싶다”고 밝혔다.
김아영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