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후 장기공공임대주택 4년 후엔 15만호 넘어선다

입력 2025-08-13 00:24

15년 이상 된 서울의 노후 장기공공임대주택이 오는 2029년 15만호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서울 소재 장기공공임대의 76.2%에 달하는 물량이다. 또 장기공공임대에 거주하는 노인(65세 이상)·1인 가구 비중이 일반 가구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해 자체적인 대응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서울연구원은 최근 장기공공임대 입주자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장기공공임대는 임대 의무 기간이 30년 이상인 영구임대주택, 국민임대주택, 행복주택 등을 의미한다. 현재 서울 소재 장기공공임대주택은 19만7248호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내 노후 장기공공임대는 매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2만7140호에서 2029년 15만244호로 많아진다. 우선 서울시·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 관리하에 있는 노후 장기공공임대가 지난해 10만158호에서 2029년 12만1657호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노후 장기공공임대는 지난해 2만6982호 2029년 2만8587호로 많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장기공공임대에 살고 있는 노인·1인 가구 비율도 높은 상황이다. 서울 전체의 노인 가구 비중(24.0%)과 1인 가구 비중(39.3%)을 상회했다. 장기공공임대 가구주 중 노인은 지난해 54.5%에 달했다. 이는 2015년 33.7%보다 20.8% 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1인 가구 비중은 같은 기간 31.1%에서 46.6%로 15.5% 포인트 상승했다.

연구원은 “15년 이상 된 장기공공임대가 전체 공공임대의 40.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노인·1인 가구 비중도 높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울시가 장기공공임대를 다루는 독자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노후 장기공공임대 거주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3월 실태조사도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3.0%가 주택 내부 환경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는 화장실(35.0%), 누수·결로·곰팡이(22.6%), 부엌(21.0%) 등이 꼽혔다.

단지 내 확충이 필요한 공간은 휴게시설(52.2%), 체육·건강 증진시설(39.9%), 마을카페(21.5%) 등으로 파악됐다. 불편·위험 사항으로는 층간 또는 벽간 소음(49.1%)이 가장 많이 선택됐다. 애완동물(18.9%), 노상방뇨 및 흡연(18.2%)이 뒤를 이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