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의 이목이 11일 임시 국무회의에서 발표될 광복절 특별사면 대상자 명단에 쏠리고 있다. 그중에도 최대 관심사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사면 여부다. 잠재적 대권주자로 분류되는 조 전 대표가 사면·복권되면 내년 지방선거·재보궐선거 양상은 물론 범여권 내 역학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 전 대표의 사면은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진다. 전 정부에서 검찰로부터 과도한 수사·기소를 당한 ‘피해자’라는 주장을 받아들여 이재명 대통령이 결단을 내릴 것이란 시각이다. 피선거권 회복을 위한 복권 또한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보인다. 사면·복권 논의가 정치적 부담을 동반하는 만큼 이를 구태여 두 번에 나눠 질 필요 없다는 고려도 있다.
정치권에서는 조 전 대표가 피선거권까지 회복할 시 내년 6월 동시에 치러질 지선·재보선에서 정계 일선 복귀를 노릴 것으로 본다. 중량감과 연고를 고려할 때 서울·부산시장 출마 가능성부터 공석이 된 인천 계양을 등 지역구에 도전장을 낼 것이란 시각까지 예상이 분분하다.
일각에선 조 전 대표 사면을 지난 총선·대선 과정에서 형성된 범여권 연대를 강화해 나가는 과정으로 해석한다. 박지원 의원은 아예 10일 페이스북 글을 통해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합당까지 언급했다. 박 의원은 “대선 때 함께 승리했고 생각·이념·목표가 같다면 함께 살아야지 왜 다른 집 살림을 하느냐. 통합하면 지선 총선 대선 승리한다”고 주장했다.
거꾸로 경계심 섞인 눈초리도 존재한다. 리더를 되찾은 조국혁신당이 독자세력화에 무게를 실을 경우 호남을 중심으로 민주당의 대안이 되려 할 것이라는 우려다.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한 친명(친이재명)계 의원은 “정치인이 다시 정치의 영역으로 돌아오는 거야 자연스럽다”면서도 “합당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될지, 호남 중심 경쟁구도로 갈지는 조 전 대표가 나와 봐야 알 일”이라고 평가했다.
민주당 내 역학관계에 미칠 영향도 관심사다. 조 전 대표 사면에 긍정적인 측에서는 친문(친문재인) 진영을 껴안아 국민 통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앞서 고민정·윤건영 의원 등 친문 의원들이 이 같은 논리로 직간접적 찬성 입장을 드러냈다. 반면 조 전 대표가 당내 친문계 구심점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한 의원은 “조 전 대표가 사면된다면 당내 세력화로 이어지지 않겠느냐”며 “(당내 구도가) 복잡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