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들어 한 주 만에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은행에서 가계대출이 2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6·27 대출 규제 후 주춤했던 가계대출 수요가 다시 꿈틀대자 은행들은 대출의 고삐를 더욱 조이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845억원으로 전월 말(758조9734억원) 대비 1조9111억원 증가했다. 일평균 증가액은 2730억원에 이른다. 6·27 규제 발표 직후 증가세가 대폭 감소했던 7월의 일평균 증가액(1335억원)의 두 배를 넘는 수치다. 이 추세가 월말까지 이어진다면 이달 증가액은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가장 큰 규모가 된다.
금융 당국이 추가 대출 규제를 내놓을 수 있다는 불안감에 ‘신용대출이라도 우선 받아두자’는 선(先)수요가 이달 초 가계대출 급증 배경으로 꼽힌다. 실제로 이달 초에는 신용대출이 103조9687억원에서 105조380억원으로 1조693억원이나 증가해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 이 중 일부는 지투지바이오와 삼양컴텍, 에스엔시스 등 공모주 청약에 흘러든 것으로 추정된다. 세 종목 공모에는 각각 조 단위의 증거금이 몰렸다. 6·27 규제 발표 전 계약된 주택 거래 대출이 실행되는 여파도 있다. 보통 주택 거래 시 한두 달, 길게는 석 달의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이 실행된다.
6·27 규제에 포함된 가계대출 총량제에 따라 하반기 목표치가 절반으로 깎인 은행권은 이를 준수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신한·하나·NH농협은행은 다음 달 실행될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중 대출 모집인(대출 상담사)의 신청 창구를 아예 닫아둔 상태다. IBK기업은행은 한 발 더 나아가 올해 하반기 대출 모집인의 주담대·전세대출 추가 접수를 무기한 중단했다. 신한은행은 오는 10월까지 수도권 외 지역에서 소유권 이전 등을 조건으로 한 전세대출을 내주지 않기로 하는 한편 1주택 이상 보유자의 전세대출도 전국에서 중단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