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정과제에 “2028년 G20 유치”… 18년 만에 G20 의장국 노린다

입력 2025-08-09 00:03
2025 남아공 G20 정상회의 배너. EPA연합뉴스

국정기획위원회가 오는 13일 발표하는 국정과제 중 외교·안보 분야에서 ‘2028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유치’를 목표로 제시한다. G20 정상회의를 유치하면 2010년 11월 이후 18년 만에 의장국이 된다.

8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기획위는 외교·안보 분야의 국정 목표를 제시하며 세부 전략 중 하나로 ‘다자경제 협의체 논의 주도’를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는 ‘2028 G20 정상회의’ 한국 유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정부는 이미 G20 회원국과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큰 변수가 없는 한 한국이 선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결과는 오는 11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올해 G20 정상회의에서 나올 예정이다.

G20 정상회의는 주요 국가 간 경제·금융 정책 현안에 관한 대화를 확대하고, 안정적인 세계 경제 성장을 위해 만들어진 다자협의체다. 2008년 금융위기 대응을 위해 미국 워싱턴에서 처음 열렸다. 한국에서 개최된 적은 2010년 11월 한 차례다. 이와 관련해 국정기획위 관계자는 “올해 경북 경주시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잘 마치고, 2028년 G20 정상회의 의장국으로 선정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국정기획위는 실용외교의 실천 방향으로 한·미동맹 고도화, 외교 다변화, 비핵화 및 지속가능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의 구상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외교 다변화와 관련해 문재인정부의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계승·발전하자고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신남방 정책은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인도 등의 신남방 국가들과 관계를 주변 4강(미국·중국·일본·러시아)과 유사한 수준으로 강화한다는 외교 정책이다. 윤석열정부 때 사실상 폐기됐으나 이를 복원하는 것이다. 러시아 등 유라시아 지역과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신북방정책도 새 정부에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정기획위는 서방 중심의 국제질서가 약화하면서 급부상하고 있는 글로벌사우스(비서구권)를 비롯해 유럽·인도태평양·중앙아시아와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제안할 계획이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