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원회가 ‘총경회의 블랙리스트’ 의혹을 둘러싼 사실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경찰청으로부터 3년 전 총경 인사 관련 자료를 제출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총경회의 6개월 뒤 대대적으로 이뤄진 참석자들에 대한 인사 보㎟복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첫 단추를 뀄다는 분석이다.
총경회의는 윤석열정부에서 추진했던 경찰국 설치가 경찰 조직의 정치적 중립성을 후퇴시킬 것을 우려해 온라인 대화방에 모인 약 500명의 총경 중 55명이 2022년 7월 23일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진행했던 회의다. 총경 전체 인원 가운데 80% 이상이 단체대화방에 모였고, 행사 당일 200여명이 현장과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이후 현장 참석자 55명이 이듬해 인사 보복을 당했다.
7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은 최근 총경회의에 참석했던 전현직 총경들로부터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받아 2023년 2월 총경 인사 발령 현황 등 인사 관련 자료를 국정위에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사 보복 형태로 이뤄진 총경회의 참석자에 대한 각종 불이익을 확인하기 위한 차원이다. 국정위 분석 결과 총경의 경우 인사에 앞서 희망 보직을 5지망까지 제출하는데 참석자 대부분은 지망했던 보직 중 어느 한 곳에도 가지 못했다. 이들 가운데 절반가량은 한 계급 낮은 경정급 지위로 발령받았다.
국정위는 사실관계 파악 후 사후 조치를 강구할 계획이다. 경찰청도 이른 시일 내 총경회의 참석자들과 함께 총경회의 진행 과정과 인사상 피해 관련 의견을 나누는 워크숍을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총경회의 참석자 상당수 역시 블랙리스트 의혹에 대한 전반적인 실체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국민일보는 총경회의 참석자 55명 중 해외 주재관 파견 등을 제외한 4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해 37명으로부터 답변을 받았다. 응답자 중 32명(86.5%)은 총경회의 무력화 및 인사 불이익 등과 관련해 어떤 형태로든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방식에 대해서는 32명 중 29명이 외부 조사위원회를 꾸리거나 경찰 내부적으로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수사가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3명이었다.
외부 조사위를 통해야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절반가량이었다. A총경은 “내부 감찰의 경우 스스로를 조사하는 모습이 되기 때문에 독립적인 조사위원회를 꾸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직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았다. B총경은 “새로운 앙금을 만들어선 안 된다”며 “내부적으로 조사해 사실을 밝히면 된다”고 말했다.
엄정한 수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C총경은 “참석한 사람들이 특별한 비리가 없는데 인사 불이익 대상이 된 것은 직권남용으로 볼 수 있다”며 “수사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임송수 조민아 김이현 유경진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