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작전사령부(드론사)가 지난해 11월 드론사 내 북한 무인기 태스크포스(TF) 소속 부대원을 사실상 배제한 채 대북 무인기 작전을 실행한 정황이 드러났다. 내란 특검은 이 같은 관련자 진술을 확보하고 수사를 확대 중이다. 특검은 이 작전에서 북한 남포 방향으로 보낸 드론이 세 차례 ‘재밍’(전파 방해 공격)을 맞고 기지로 복귀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6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특검팀은 최근 드론사 관계자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11월 13일 작전을 앞두고 드론사 내 북한 무인기 TF 소속 부대원이 “북한에 무인기를 11월에도 날린다는 게 맞느냐”는 취지로 말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드론사 TF는 지난해 6월 5~6명 규모로 꾸려져 북한에 드론을 날려 보내는 작전 기획, 실행 상황 등을 공유했다. 하지만 TF 소속 부대원이 곧 이뤄질 작전에 대해 남 일 얘기하듯 대화를 나누며 사실상 배제된 정황을 특검이 파악한 것이다.
특검은 작전이 위험하다며 우려를 표한 TF 소속 부대원을 드론사가 의도적으로 배제한 게 아닌지 의심한다. 북한 도발을 유도할 목적으로 위험을 무릅쓰고 작전을 강행했을 가능성이 있는지 수사 중이다. 드론사는 지난해 10월 3·9·10일 세 차례 평양에 무인기를 보내는 작전을 실행했다. 북한이 10월 11일 ‘한국이 무인기를 보냈다’며 추락한 기체 사진을 공개하자 드론사 내에선 작전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공유된 것으로 전해졌다. 10월 작전 이전에도 TF 내에선 무인기 작전에 대해 ‘정전협정 위반 우려가 있다’거나 ‘합참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11월 작전에서 백령도 기지를 떠난 무인기가 북한이 쏜 무인기 방해 목적의 재밍을 세 차례 맞은 뒤 간신히 기지로 복귀했다는 드론사 관계자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김용대 드론사령관이 이 작전을 예하 부대 소대장에게 직접 지휘했다는 부대 관계자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상 무인기 작전은 ‘사령관→예하 대대→TF’를 거쳤는데 특검은 사령관이 직접 소대장과 소통하며 이뤄진 지휘 방식이 이례적이라고 보고 경위를 수사 중이다.
특검은 ‘격추될 위험이 크다’고 하급자로부터 유선 보고를 받은 김 사령관이 옆에 있는 누군가에게 ‘위험하다는데요’라고 말했다는 부대 관계자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사령관이 말한 대상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나 윤석열 전 대통령은 아닌지 확인하고 있다.
신지호 양한주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