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신앙인 최지호(가명·45)씨는 몇 년 전 이혼과 재혼의 과정을 겪으며 우울과 분노의 시간을 보냈다. 최씨는 최근 인천의 한 교회에서 만난 자리에서 “재혼해 가정을 다시 꾸렸지만, 자녀의 방황은 부부 갈등으로 이어졌다”면서 “부부 상담을 하며 받은 검사에선 우울 지수가 매우 높게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혼과 재혼에 대한 교회의 보수적인 시각으로 목회자나 교회 공동체와 교제하는 일도 쉽지 않았다”며 “그래서 더 약물치료 의존도를 끊어내기가 쉽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마음 건강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교회 안팎으로 증가하는 현실에서 한국교회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돌봄 사역이 요구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마음 돌봄 사역이 전문 치료와 더불어 복음이 함께 가야 효과적이라고 지적한다. 목회자·전문가·공동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힘을 발휘한다는 조언이다.
새롬심리상담센터장인 오주헌 길가에교회 목사는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에 초점을 두고 그 안에서 자신의 문제를 조망하며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기독교적 상담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반상담은 최종 목적이 내담자의 자아실현을 통한 안정에 맞춰져 있어 문제가 해결되고 남는 건 오로지 자기 자신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문상담과 신앙 회복을 서로 대치하지 않고 통합해서 바라보는 시각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인천 부평구건강가정지원센터장인 이호은 주안장로교회 부목사도 “기도와 말씀에 의지하면서도, 정서적 치유는 전문적인 돌봄과 병행해야 온전한 회복이 가능하다”고 봤다.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난 어머니, 폭력적이었던 아버지, 새엄마와의 낯선 동거. 정연주(가명·40)씨는 어린 시절부터 지속된 상처로 20대부터 폐쇄 병동 입원과 약물 치료를 오갔다. 지금도 회복의 여정에 서 있지만, 과거와는 다르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 부설 청년상담센터 위드(WITH)에서 전문 상담을 받으며 복음을 접하게 된 그는 “현재 상담학을 공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씨는 “언젠가는 저와 같은 처지의 이들에게 제가 받은 치유를 돌려드리고 싶다”는 소망을 전했다.
기윤실 위드는 만 19~39세 청년들이 전문가와 상담하며 전인적 치유와 회복을 경험해 마음 건강을 지켜가도록 돕는다. 민향숙 위드 전문상담사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존귀한 자라는 자기 사랑의 시각으로 자신을 바라보며 회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며 “내담자의 자발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이 같은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전했다.
한국교회 안에서 마음 돌봄 사역에 발 벗고 나서는 기관이 점차 늘고 있다. 오 목사가 시무 중인 서울 중랑구 길가에교회는 평일엔 새롬심리상담센터로 바뀐다. 2018년 문을 연 이 센터는 지난해에만 140여 명이 상담을 받았고, 매주 35명가량이 정기적 상담을 받고 있다. 절반 정도는 비신자다. 서울 온누리교회(이재훈 목사)는 교인들과 지역주민들의 정신건강과 영적 돌봄을 책임진다는 취지로 온누리상담센터를 운영 중인데, 석사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전문 기독교 상담사가 참여한다. 인천 주안장로교회(주승중 목사)도 26명의 전문 상담사를 두고 매일 꾸준히 들어오는 상담 문의에 대응한다.
물론 아직 갈 길은 멀다. 기윤실 위드의 경우 제한된 예산과 인력 탓에 상담을 기다리는 대기자가 많다. 전문가들은 중대형 교회에는 전문 사역자 양성을, 소형 교회에는 교회 간 연대를 통한 협력을 주문했다. 상담센터를 운영할 여력이 있는 중대형 교회들이 지역 교회들과 연결망을 구성해 거점 상담센터를 운영하고, 상담비 일부를 지역 교회나 노회에서 지원하는 방식도 검토해볼 수 있다.
한국교회가 무엇보다 마음 돌봄 사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아픔과 고민을 편견 없이 경청해주며 품어주는 공동체로 거듭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성훈 연정신경정신과의원 원장은 “예수님께서 아픈 이들과 함께하셨듯 교회는 마음이 아픈 성도를 향해 손을 내미는 ‘치유 공동체’가 돼야 한다”며 “교회 공동체가 각 성도 내면의 아픔과 상처가 드러나는 것을 건강한 성숙과 성화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를 복음 안에서 해결하는 길을 함께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보혁 김동규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