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교과서 적극 도입한 대구교육청 ‘난처’

입력 2025-08-05 18:33 수정 2025-08-05 18:37
대구시교육청 전경. 대구시교육청 제공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법적 지위가 교육자료로 바뀌면서 대구시교육청 입장이 난처해졌다. AI교과서가 공교육 혁신을 이룰 도구라고 외치던 대구시교육청은 사업 방향을 대폭 수정해야할 처지에 놓였다.

5일 대구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AI교과서를 교육자료로 분류한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의결됐다.

대구지역 학교들의 AI교과서 채택률은 98%로 전국 최고다. 전국 평균 33.4%와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다. 교육부가 2023년 AI교과서 도입을 발표한 이후 대구시교육청은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교과서 지위, 학습 효과 등을 둘러싼 논란에도 도입을 강행했다. 다른 시·도교육청과 달리 필요한 예산도 쉽게 확보했다. 대구시교육청 AI교과서 예산은 본예산 89억8000만원과 추경 51억9000만원을 합쳐 141억7000만원에 이른다.

앞으로가 문제다. 올해는 AI교과서 관련 예산을 모두 확보했지만 내년부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교육개발업체와의 구독료 협상 등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AI교과서 도입을 놓고 대구시교육청과 대립각을 세웠던 지역 교원단체들은 개정안 통과에 대부분 환영 입장을 밝혔다. 대구시교육청은 학생 맞춤형 학습 지원과 수업 집중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교원단체와 일부 학부모들은 교육 효과 부족, 문해력 저하, 시스템 오류 등을 문제로 지적해왔다.

전교조 대구지부는 논평을 통해 “전국 교육 당사자들의 비판 여론이 반영된 법률 개정안을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대구교사노조는 “교육자료가 된 이상 AI교과서를 강요하는 대구시교육청의 정책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대구시교원단체총연합회는 교육정책이 지속성을 갖지 못해 아쉽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2학기까지는 교육 현장에서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앞으로 효용성과 성과, 예산 등을 검토해 바뀐 상황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