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이 4일 대북 심리전을 위해 전방에 설치한 고정식 대북 확성기 철거 작업에 돌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북한에 대화 복원 의지를 재차 전달한 것이란 평가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오늘부터 대북 확성기 철거를 시작했다”며 “군의 대비태세에 영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남북 간 긴장완화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조치를 시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철거 대상은 고정식 대북 확성기 20여개로, 사흘 안에 철거를 완료할 예정이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직후인 2016년 1월 이동식 확성기를 투입하면서 일시적으로 이뤄졌다. 문재인정부는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확성기 방송을 적대행위로 규정하고 철거했다. 그러나 윤석열정부는 지난해 6월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한 대응 조치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6년 만에 재개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이 대통령이 취임 후 일주일 만인 지난 6월 11일 중단을 지시하며 1년여 만에 멈추게 됐다. 군의 확성기 완전 철거는 이 대통령 지시 후 50여일 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확성기 완전 철거는 한반도 평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유화 제스처로 해석된다. 이달 진행되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인 ‘을지자유의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가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를 상쇄하려는 목적도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6월 대북 방송이 중지된 뒤 후속 조치 차원에서 논의가 있었다”며 “설치된 모든 대북 확성기가 철거 대상”이라고 말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