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포스코, 이차전지 양극소재 ‘자율 탐색 실험실’ 구축

입력 2025-08-04 01:20
국내 산학 협력 연구진이 인공지능(AI)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연구자 개입 없이 이차전지 양극 소재를 탐색하는 ‘자율 탐색 실험실’을 구축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서동화 교수팀이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소 LIB소재연구센터 연구팀과 이 같은 실험실을 구축했다고 3일 밝혔다.

이차전지 양극 소재는 충전 속도, 에너지 밀도, 안정성 등 까다로운 기준을 전부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하기 위해선 수많은 후보군을 탐색해야 한다. 연구팀은 소재 탐색 과정에서 연구자 개입 없이 시료 정량, 혼합, 소결 및 분석을 수행하는 자동화 시스템과 이를 바탕으로 최선의 후보군을 선별하는 AI 기반의 자율 탐색 실험실을 만들었다.

실험실 자동화 시스템을 24시간 운용할 경우 기존 대비 12배 이상의 실험 데이터를 확보하고 소재 탐색 시간을 93% 단축할 수 있다. 소재 탐색에 필요한 실험 횟수가 500회라고 가정하면 연구자가 직접 실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는 84일, 자동화 시스템으로는 6일이 소요된다. 서 교수는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해 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