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들이 8·2 전당대회를 이틀 앞둔 31일 당원들을 향해 투표 참여를 호소하며 막판 총력전을 벌였다. 정청래 후보는 ‘대세론’을, 박찬대 후보는 ‘대역전’을 주장하며 표심 구애에 나섰다.
정 후보는 공개 일정 대신 전화운동에 나섰다. 상대적으로 지지세가 약한 것으로 평가되는 대의원 등과 직접 통화하며 지지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후보 측 관계자는 “직접 전화를 돌리는 선거운동이 효과가 가장 확실하면서도 힘들다”며 “후보가 직접 전화 선거운동에 나서겠다고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오직 당원, 오직 당심만 믿고 간다”며 지지를 호소했다.
정 후보의 전화 선거운동은 박 후보를 압박하는 의도도 담겼다. 전당대회 선거운동 기간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정 후보는 박 후보에게 큰 차이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20일 실시된 충청·영남권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에서 정 후보는 누적 62.65%(7만6010명)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37.35%(4만5310명)에 그친 박 후보를 25.3% 포인트 차이로 따돌렸다. 정 후보 측 관계자는 “별다른 이상 징후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며 “기존의 흐름대로 흘러가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박 후보는 연일 강경 메시지를 쏟아내며 당심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박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당대표가 되면 윤리특위 구성을 의석수 비율로 바꾸고 상설화할 것”이라며 “(국민의힘) 주진우 의원 결의안은 쇼에 불과하겠지만 박찬대는 끝까지 간다”고 경고했다. 주 의원이 박 후보 등 민주당 의원 10명에 대한 제명 촉구 결의안을 제출하자 ‘윤리특위 재구성’으로 맞불을 놓은 것이다. 최근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6명씩 동수로 윤리특위 구성에 합의한 것을 두고 여당 지지층 내 반발이 거센 상황을 고려한 전략이다. 박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사저에 모인 국민의힘 의원 45명 제명 촉구 결의안도 발의한 바 있다.
박 후보는 상대적으로 우세한 현역 의원 지지세를 바탕으로 대의원 표심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지방의원 등으로 구성된 대의원 표심은 현역 지역구 의원들의 입김이 작용할 여지가 크다는 것이다. 박 후보 측 관계자는 “지역 순회 경선 초반과 달리 격차가 좁혀지고 있고, 대의원 표심에서 앞서면 충분히 역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이날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청년위원회 정책 제안서 전달식,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전국 청년 릴레이 지지 선언’에 연이어 참석하며 청년 당원 지지도 호소했다.
민주당 전당대회는 오는 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다. 당대표 선거는 권리당원 투표 55%, 대의원 투표 15%, 일반 국민 여론조사 30% 비율로 진행된다. 최고위원에는 황명선 후보 한 명만 입후보해 찬반 투표로 치러진다.
김판 한웅희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