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해병 특검이 군의 채해병 사망사건 초동조사 기록을 경찰에서 회수하는 과정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31일 소환조사했다. 특검은 경찰에 이첩된 조사 기록이 군 검찰단에 회수되는 과정에 대통령실이 개입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특검은 이날 이 전 비서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이 전 비서관은 해병대수사단이 사건 기록을 경찰에 이첩했던 2023년 8월 2일부터 국방부 주요 관계자들과 여러 차례 긴밀하게 연락을 주고받았다”며 “8월 2일뿐만 아니라 이후 대통령실 개입 여부 대해서도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해 8월 2일은 해병대수사단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을 채수근 상병 사망사건 관련 업무상과실치사 혐의자로 적시한 초동조사 기록을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날이다. 그러나 같은 날 군검찰단은 사건 기록을 다시 회수해 갔다. 이 과정에 대통령실이 개입해 외압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특검은 이 전 비서관이 국방부 관계자와 소통하며 사건 기록 회수에 관여했다고 의심한다. 특검은 당시 이 전 비서관이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과 수차례 통화와 문자를 주고받은 기록을 확인했다. 또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행정관으로 근무한 박모 총경으로부터 “이 전 비서관이 이첩 기록 반환을 검토하라고 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정훈 대령도 이날 참고인 신분으로 특검에 출석했다. 앞선 조사에서 사건 이첩 및 회수에 관한 진술을 확보한 특검은 박 대령 조사를 통해 당시 상황을 재확인할 방침이다.
이서현 기자 hy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