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만 5건의 산업재해 사망 사고로 대통령에게 강한 질타를 받은 포스코이앤씨가 운영 중인 광주 가연성 폐기물 연료화 시설(SRF)에서도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포스코이앤씨는 SFR 운영비를 두고 광주광역시와 2000억원대 분쟁을 벌이고 있다.
광주광역시의회 소속 의원들은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이앤씨는 최근 수년간 광주 SRF시설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와 관련해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은 채, 이제는 시민 혈세까지 노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광주 SRF시설에서는 지난 2022년 9월 16일 건조기 인근에서 작업하던 20~40대 하청업체 근로자 3명이 화상을 입었다. 지난해 10월 24일엔 북구 소속 60대 환경미화원이 폐기물 반입 도중 반입장 5m 아래로 추락해 다쳤다. 지난 2월 28일에도 지게차 작업 중 미끄러진 적재물에 주변에 있던 30대 하청 근로자가 부상을 입었다.
시의회는 안전사고에는 적절한 대처를 하지 않고 SRF 운영비용 증가 등을 이유로 대한상사중재원을 통해 광주시에 배상을 요구하는 포스코이앤씨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포스코이앤씨 측은 지난 3월 중재 신청액을 당초 78억원에서 2100억원으로 돌연 27.4배 증액해 지역사회의 공분을 샀다. 일각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단심제로 운영되는 중재심판을 악용해 막대한 이익을 챙기려 한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광주시의회는 “포스코이앤씨가 광주에서 시민의 혈세를 노리고 후안무치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포스코이앤씨는 무리한 중재 절차를 즉각 중단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사법절차를 통해 해법을 찾아 나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