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최동석 ‘막말 리스크’… 대통령실 “낙마 없다”지만 여론 주시

입력 2025-07-28 02:02
최동석(왼쪽) 인사혁신처장이 지난 23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신임 국무위원·지방시대위원장 임명장 수여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수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여성가족부 장관 인선과 대통령실 오광수 전 민정수석, 강준욱 전 국민통합비서관의 자진사퇴로 홍역을 치른 대통령실이 이번엔 최동석 신임 인사혁신처장의 과거 막말로 노심초사하고 있다. 최 처장은 특히 문재인 전 대통령 등 여권 인사를 겨냥해 막말을 한 탓에 자칫 여권 내전으로 확대될까 여론을 주시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7일 “인사 국면은 거의 끝났다고 보면 된다”며 “앞으로도 그만두거나 낙마로 이어질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이미 임명이 된 상황이라 현재 거취에 대한 별다른 고민은 하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최 처장마저 사퇴할 경우 인사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더욱 거세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장차관급 인사들이 두 달 새 연이어 자진사퇴하거나 낙마하면서 인사 검증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 처장까지 낙마한다면 부실 검증 책임론까지 불거질 수 있다.

그러나 여권 내 최 처장에 대한 반감도 무시하긴 어려운 분위기다. 한 여권 고위 관계자는 “과거 발언 등 설화가 반복 제기되고, 구설에 오르내리는 상황이 부담스러운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범여권에선 (최 처장) 본인에게 사과나 사퇴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며 “그동안 인사 잡음이 다수 있었던 만큼 여권과 시민사회 등 다양한 여론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일단 대통령실은 인사 검증 시스템을 보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구체적인 개선책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과거 발언 등 그동안 부족했던 부분을 좀 더 검토하는 방향으로 인사 시스템을 수정하고 있다”며 “문제가 된 부분들을 수정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장관급의 경우 세평 조회를 강화하거나, 차관급 이하는 SNS나 저서 등을 더 자세히 살펴보는 방향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처장은 2020년 7월 페이스북에 고(故) 박원순 전 시장의 성추행 사건을 “기획된 사건”이라고 지칭하는 칼럼을 기고하며 2차 가해 논란을 일으켰다. 문 전 대통령을 향해선 “고통의 원천”이라고 발언해 친문(친문재인)계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최 처장은 지난 22일 자신의 엑스(X·구 트위터)에 “언론에서 제기된 사안과 관련해 과거 제 글로 상처받은 피해자분께 진심으로 깊이 사과드린다. 앞으로 고위공직자로서 언행에 각별히 유념하겠다”고 사과했다.

윤예솔 기자 pinetree23@kmib.co.kr